지난 8월, ‘위기의 지방국립대, 일본 대학에서 해법 찾다’ 기획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언론진흥기금을 받아 일본 취재 기회를 다녀왔다. 미야자키대학, 야마구치대학 등 일본국립대학을 취재하며 청년이 지역에 남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와 시스템을 구축해온 일본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지역 협력 플랫폼인 ‘대학 리그 야마구치’이다. 야마구치현 내 고등교육기관과 기업, 지자체가 함께 만든 협의체인 대학 리그 야마구치는 △진학 위원회, △취업 위원회, △지역 공헌 위원회로 구성된다. 이들의 목적은 야마구치현에 지역 인재를 정착하도록 돕는 것이다.
진학 위원회는 야마구치현 내에 있는 대학 정보를 적극 알리고, 교육 연구에 협력한다. 취업 위원회는 기업 설명회 등을 통해 대학과 제휴한 야마구치현 내의 기업의 장점을 홍보한다. 지역 공헌 위원회는 야마구치현 내의 대학과 기업 사이의 협력을 촉진하며 지역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다. 이들은 끊임없이 지역 인재가 지역 대학에 입학하도록 장학금 등을 지원한다. 졸업 후에도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고 정착하도록 각종 혜택을 준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최근 10년간 야마구치대학 졸업자 25~30%가 졸업 후 야마구치현에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현실은 다르다. 고등학생들은 “서연고서성한중경외시...”라며 주문 외우듯 인서울대학 입학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한다. 지방국립대 진학은 인서울에 실패했을 때 차선책처럼 생각한다. 학교나 지역에서도 청소년이 그 지역에 애정을 품을 수 있도록 돕기보다는 서울권 대학에 입학하도록 장려하고 지원한다. 그러나 수도권에 주요 기업들이 몰려 있고 교육격차는 갈수록 벌어지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이러한 상황을 비판만 할 수도 없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전북 청년 인구(18~39세) 중 매년 평균 8000여 명 지역을 떠난다. 지난해만 해도 8478명이 전북을 떠났다. 청년층의 유출, 저출생, 고령화가 겹치며 도내 지자체는 14개의 시군 중 전주시를 제외한 13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이 같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도 노력하고 있다. 이탈 청년을 무조건 막기보다 괜찮은 전북이 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올해 전북에서는 기업 연계 일자리 매칭, 면접 수당, 직무 체험 등을 지원해 청년들의 일자리 부담을 줄인다. 전북대학에서는 전북 RISE 사업을 통해 지역산업과 대학을 정책적으로 연계하려고 노력한다. 기업 역시 플로깅 활동과 전통시장 소비를 결합해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연결하는 지역사회 공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런 노력은 지자체, 대학, 기업이 유기적이지 않아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정권이 바뀌거나 자치단체장이 바뀌면 정책도 함께 사라져 연결성도 떨어진다.
떠나는 청년을 탓하고 사회구조만 비판하기에는 인구 소멸 속도가 너무 빠르다. 우리에게는 더욱 강력하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지역이 제시하고 대학이 실행하고 기업이 후원하고 공헌하는 식의 삼각 협력 구조를 통해 지역 정착 전략이 이뤄져야 한다. 이런 유기적인 전략을 통해 청년이 잠깐 머무는 곳이 아닌 살고 싶은 매력적인 전북이 되길 바란다.
송주현 전북대신문 문화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