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가볼게요 할머니. 다음에 또 봬요.”
추석 연휴 마지막 날 9일 오전 전주역은 기차를 타기 위해 나온 귀경객들로 북적였다. 이날 전주역을 찾은 귀경객들은 두 손 가득 캐리어와 보자기 등 짐을 든 상태로 서로 “출발까지 얼마나 남았어?”라며 기차 시간과 번호를 확인했다. 한 시민은 아들과 헤어짐이 못내 아쉬웠는지 서로의 손을 꼭 붙잡고 승강장까지 향했다. 기차가 올 때까지 자녀의 어깨를 껴안고 기다리는 시민도 보였다.
이내 역에 도착한 기차에 올라탄 손자가 “먼저 갈게요”라고 인사하자 할머니는 “건강하게 지내라”며 손을 흔들었다. 기차 앞 시민들은 창문 너머의 가족들에게 연신 손을 흔들며 기차가 출발할 때까지 승강장을 떠나지 않았다.
기차를 타는 가족들을 배웅하기 위해 나왔다는 김상기(68) 씨는 “연휴 동안 손자들과 여행도 다녀오고 맛있는 것도 먹고 좋은 시간을 보냈다”며 “오랜만에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서 그런지 아쉬움이 더 크게 느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진현(31) 씨는 “이번 황금연휴 덕분에 가족들을 만나고 고향 친구들과 함께 놀 수 있어서 참 즐거웠다”며 “긴 연휴였던 만큼 다음 주가 걱정되기도 하는데, 내일만 지나면 바로 주말이 있어서 다행이다”고 웃었다. 그러면서 “이제 주말 동안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준비를 해야 하지 않겠나”고 덧붙였다.
같은 날 낮 12시께 전주고속버스터미널 역시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해 온 귀경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터미널 내부 카페는 버스 출발시간을 기다리는 시민들로 붐볐다. 한 시민은 버스 출발 시간이 다가오자, 배웅나온 가족들과 악수한 뒤 “가볼게”라고 말하며 아쉬운 듯한 표정을 지었다. 또 다른 시민은 자녀의 캐리어를 끌어주며 “버스 시간에 늦은 건 아니지?”라며 급히 발걸음을 옮기기도 했다.
서울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터미널에 왔다는 김성현(30대) 씨는 “연휴 시작 직전까지도 금요일에 휴가를 낼지 말지 고민을 많이 했었다”며 “그렇게 오래 쉬면 연휴 이후가 너무 힘들 것 같아서 내일 출근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긴 추석 연휴를 맞아 여행 목적으로 전주를 찾았다는 시민도 있었다.
윤모(70대·여) 씨는 “연휴 초반에 자녀들과 간단히 식사만 하고 이후에는 남편과 여행을 다녔다”며 “추석 연휴는 끝났지만, 주말도 남아있으니 전주 이외에 다른 지역도 좀 더 돌아보려고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