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전남과 광주는 반드시 거쳐야 할 성지다. 오랜 시간 비엔날레를 개최하며 아트 허브로 군림해 왔기 때문이다. 올해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와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가 열리며 미술 애호가뿐 아니라 미술 관계자, 컬렉터들도 불러 모으고 있다. 지난 11일 마당 문화 기행으로 탐방하게 된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와 광주디자인비엔날레 현장에는 많은 관람객들이 붐비며 뜨거운 분위기였다.
△미술기행의 시작, 전남도립미술관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4주년 기념 전시로 전남도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BLACK & BLACK’은 동아시아 수묵 남종화와 1950년대 서구 블랙 회화를 현대미술의 시각에서 교차 조명한 전시다. 핵심은 동서양의 블랙 회화를 병렬적으로 나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공재 윤두서의 작품에서 시작해 남도 수묵 전통을 잇는 소치 허련, 의재 허백련, 남농 허건을 거쳐 세계 현대미술사의 거장들과 연결된다. 서구 블랙 회화의 중심에 선 피에르 술라주와 앵포르멜의 대가 한스 아르퉁, 추상표현주의의 로버트 마더웰, 이우환, 이응노, 이강소의 작업을 비중 있게 다룬다. 총 30명의 작가가 선보이는 70여 점의 작품은 동서양 거장의 궤적을 중심으로 남도의 현대 수묵 작가들이 어우러지는 장대한 스펙트럼을 선사한다.
△딱 한 곳만 고른다면!…광주비엔날레관
광주 미술시장의 중심축인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올해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너라는 세계 : 디자인은 어떻게 인간을 끌어안는가’라는 제목으로 포용디자인의 무한한 가능성을 들여다본다. 선한 오지랖이 개인과 공동체,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 함께 탐구하고 미래로 나아가자는 의미가 담겨있다.
실제 전시에서는 장애인‧고령자‧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가 물리적‧심리적 장애물 없이 편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무장애(배리어프리·Barrier Free)를 넘어서 모두의 불편함을 덜어낼 수 있는 디자인을 관람할 수 있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고안한 ‘세 번째 엄지손가락’의 경우 사용자의 파지력과 민첩성을 확장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이 외에도 현대인의 삶의 질과 사회참여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인 ‘모빌리티’의 미래화는 공평한 이동 환경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서울 청계천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 전기버스 ‘로이’는 누구나 쉽게 탈 수 있도록 낮은 바닥 구조와 휠체어 탑승을 위한 경사로를 갖추고 있다. 주행 중에는 탑승객뿐 아니라 도로의 모든 사용자를 고려하는 감지 기능을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이 작동된다.
△지역 미술의 중심축 ‘광주시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은 광주 미술의 오늘과 내일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날은 2024 허백련미술상을 받은 이철량 작가의 '시정유묵(市精幽墨), 지금–여기' 개인전이 열리고 있었다. 허백련 미술상은 한국화의 거장 의재 허백련(1891~1977) 선생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광주시가 1995년 제정한 한국화 부문 미술상으로 지난해 이철량 작가가 본상을 받았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철량의 예술세계를 총체적으로 짚어본다. 작가의 초기 대표작인 ‘언덕’과 ‘신시’를 중심으로 그가 구축한 수묵화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1부 전시와 수묵을 동시대 회화로서 미학적으로 풀어낸 2부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이처럼 광주와 전남에서는 지역에서 시작한 전시가 전국을 거쳐 세계로 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증명한다. 예향의 가치를 내건 전북 또한, 지역과 세계를 잇는 예술 도시로서의 모습을 보여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