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때 이른 지선 모드 과열경쟁 불·탈법 우려 커

추석 민심은 내란·김건희·순직해병 등 3대 특검 수사와 민생회복, 미국 관세협정, 정부조직 개편 등이 많이 거론됐다. 내수 침체 장기화와 위축된 가계 소비, 최악의 건설경기 등에 대한 위기의식도 밥상머리를 달궜다.

내년 6.3 지방선거 역시 주요 관심사였다. 지방선거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선거라는 점에서 정부 여당의 국정 운영 평가가 중요한 잣대가 될 전망이다. 여야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전북지역은 대부분 지방선거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 일부 자치단체장들은 이미 예비 선거캠프 격인 사무실을 가동시키고 인력배치를 서두르고 있다. 정책과 예산, 예산 등도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포석에 집중될 것이다. 기성 정치권과 정치 신인 모두 당원과의 소통에 주력하고 있고 이력·경력과 얼굴 알리기에 심혈을 쏟고 있다.

문제는 다른 어느 선거 때보다도 과열경쟁과 불법 탈법이 성행할 것이라는 점이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당원 주권을 선언했고 상향식 의사전달 방식을 공언했다. 당내 경선도 이 원칙에 따라 치러질 것이다.

전북은 경선승리가 곧 당선이라는 우월적 지역정서 때문에 경선 때 불법과 탈법이 횡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지난 8월말까지 입당한 당원 검증을 철저히 해 자격미달 및 유령당원들을 가려내고 사전에 경선 당원동원에 대한 엄벌 의지도 밝혀야 마땅하다.

선거 때마다 공직선거법 위반과 허위사실 유포는 단골메뉴였다. 특정 목적을 노린 여론조사로 선거를 흐리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전북선관위가 사전 대비를 철저히 하길 바란다. 빈번하게 나타나는 위법사례 중심으로 교육을 철저히 하고 홍보활동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20226·1 지방선거 때는 전북교육감과 시장 등 5명이 허위사실 공표 및 금품살포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내년 지방선거는 산적해 있는 지역현안들을 과감하게 추동시키고 살기 좋은 전북을 만들 적임자가 누구인지 가려내는 중요한 정치이벤트다. 불법 탈법으로 얼룩지지 않고 정당한 절차를 밟아 당선된 역량 있는 정치인이 힘 있게 이끌어 가야 한다, 그만큼 전북은 지금 절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