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비롯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강력범죄를 벌인 범죄 단지의 배후로 꼽히는 프린스 그룹의 자금이 여전히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 계좌에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은행 중 캄보디아 프린스 그룹 간 거래 내역에 따르면 국민은행·전북은행·우리은행·신한은행·iM뱅크 등 국내 금융사의 캄보디아 현지법인 5곳이 프린스 그룹과 총 52건 거래를 진행했다. 거래 금액은 총 1970억 4500만 원에 달한다.
가장 거래 규모가 큰 곳은 전북은행이다. 프린스 그룹은 총 47건의 정기예금(40건 만기 해지)을 예치했으며, 거래액은 총 1216억 9600만 원이다.
지금도 국민은행·전북은행·우리은행·신한은행 등 현지법인 4곳에 예금 912억 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은행 566억 5900만 원, 전북은행 268억 5000만 원, 우리은행 70억 2100만 원, 신한은행 6억 4500만 원 순이다.
프린스 그룹은 부동산·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캄보디아 경제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대 기업 집단이다. 인신매매·온라인 사기·불법 감금 등 각종 강력범죄의 배후 조직으로 지목되고 있다.
현재 미국과 영국 정부는 프린스 그룹과 이 회사의 천즈 회장을 대상으로 공동 제재에 나섰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 역시 이달 중 프린스 그룹을 포함한 캄보디아 범죄 조직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금융 제재에 착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강 의원은 "금융위원회는 캄보디아 범죄 조직의 '검은돈' 동결 가능 여부 등에 대해 캄보디아 정부와 협의해 처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확한 실상 파악과 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