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과 수도권의 의료 인프라 격차가 매년 심화되는 가운데, 장기이식 수술 역시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지역 의료 기반 확충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3일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실이 한국장기조직기증원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간 전국에서 이뤄진 7515건의 장기이식 수술 중 전북에서 이뤄진 수술은 총 76건으로 전체 수술 건수의 1%에 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수도권에서는 5201건의 장기 이식 수술이 진행, 이는 전체의 약 70%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미화 의원은 이러한 상황이 지역 간 의료 인프라 격차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쏠림 현상은 장기 이식 수술이 가능한 대형 병원과 전문 의료진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기 때문으로, 장기 이식 수술은 외과 전문의와 이식 코디네이터 등 다학제 협력팀이 필수적이지만 지방 병원들은 이러한 전담팀과 응급 수술 시스템을 충분히 갖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주장의 골자다.
서미화 의원은 “일분일초가 중요한 장기이식 수술조차 지방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수도권에 편중되고 있다”며 “지역 의료 인프라를 확충하고 의료기관과 의료인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장기 기증 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전북특별자치도는 장기이식 수술을 포함해 전북 지역의 전반적인 의료 인프라 강화를 위해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의정갈등 이후 장기 이식 수술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의료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며 “올해에만 의료 인프라 개선 예산을 130억 정도 투입했으며, 내년에도 투자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역시 전체적인 지방 의료 인프라 확충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심장 이식 수술의 경우 전국적으로 많은 병원들이 진행하고 있으나, 폐 이식이 가능한 병원은 6개밖에 없을 만큼 지역적 편중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며 “그러나 지방의 의사·의료 인프라 부족 관련 문제는 장기 이식 수술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전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장기 이식 수술 문제만 따로 두지 않고 전체적으로 의료 인프라 부족과 의사 정착 문제를 해결하려고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장기 이식 수술 편중 문제는 전체적인 지방 의료 인프라 개선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