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AI추진위원회 출범…정책 컨트롤타워 구축

추진위, 전주시 AI 정책 심의·자문 역할

전주시 AI추진위원회가 29일 공식 출범했다. 사진=전주시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이 산업계 최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전주시가 피지컬 AI 등 AI 산업 생태계 조성에 본격 나선다.

전주시는 29일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AI 정책 컨트롤타워인 'AI 추진위원회'를 공식 출범했다.

전주시 AI 정책의 컨트롤타워인 AI 추진위는 AI와 로봇, 모빌리티, 바이오, 보안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 20명으로 구성했다. 이들은 앞으로 전주시 AI 정책을 심의·자문한다.

위원장은 전주시장이 맡는다. 위원 임기는 2년으로 한차례 연임 가능하다.

전주시는 이날 'AX 미래전략 포럼'도 열고 AI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학연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전문가들은 이 자리에서 AI 정책 방향과 AX 기술 동향, 피지컬 AI 전망 등을 공유했다. 아울러 인공지능 전환을 통한 전주시 신성장산업 육성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피지컬 AI를 통한 제조산업의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피지컬 AI는 기존 IT 기반 AI와 달리 하드웨어에 기반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기존 헤게모니에서 벗어나 새로운 판을 짜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전국의 인재, 기관과 적극 협력해야 한다"며 "정부 자금은 시드머니일 뿐 결국 핵심은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피지컬 AI란 물리적 실체가 있는 장치에 AI를 탑재하는 기술을 뜻한다.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등이 대표적인 피지컬 AI 산업으로 꼽힌다.

전주시 임숙희 경제산업국장은 "추진위 출범은 전주시가 AX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실질적인 첫걸음"이라며 "산학연 협력을 기반으로 AI 정책의 실행력과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총사업비 1조원을 투자해 피지컬 AI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 연구개발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핵심 기술 개발, 고성능 연산 플랫폼 구축, 실증 테스트베드 조성 등이 주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