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와 지역 정치권이 차세대 에너지 패권을 결정지을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를 위해 나섰다.
새만금을 중심으로 한 ‘인공태양 프로젝트’가 가시화되면 전북이 대한민국 청정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전망이다.
전북자치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 중인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 사업’의 연구시설 부지로 새만금 산업단지를 공식 제안했다고 30일 밝혔다.
총사업비는 1조 2000억 원 규모로, 2027년부터 2036년까지 10년간 핵융합 기술 개발(3500억 원)과 실증 인프라 구축(8500억 원)이 추진된다. 부지 최종 선정은 11월 말 발표될 예정이다.
핵융합 기술은 태양의 에너지 생성 원리를 인공적으로 구현해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 탄소 배출이 없고 고준위 방폐물도 발생하지 않아 ‘완벽한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는다. 폭발 위험이 없고, 기존 원자력보다 안전성이 높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다.
이번에 도가 제시한 새만금 부지는 최소 면적 50만㎡ 이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왕복 6차선 진입로와 전기·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이 이미 구축돼 있다. 오는 11월에 개통되는 새만금-전주 고속도로로 인해 연구 인력 접근성도 개선될 전망이다.
아울러 군산의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를 비롯해 새만금 재생에너지 국가실증연구단지, RE100 산업단지 등이 인접해 있어 연구 성과의 실용화와 상용화에 유리하다는게 도의 설명이다.
도는 이러한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핵융합 기술부터 산업 실증, 기업 육성을 하나로 잇는 ‘에너지 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지역 국회의원들도 유치 지원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날 열린 ‘전북 국회의원 예산정책협의회’에서는 “세계적으로 에너지 주권 확보가 핵심 이슈로 떠오른 만큼, 인공태양 연구시설이 새만금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길 바란다”며 공동 결의문을 채택했다.
연구시설이 유치될 경우 직접 고용 인력만 350명 이상에 달하고, 전기전자·초전도 부품 기업 및 관련 스타트업이 집적되는 산업 클러스터 형성이 기대된다.
김관영 지사는 “전북은 이미 플라즈마기술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어 핵융합 연구의 시너지 창출에 최적지”라며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를 통해 새만금이 대한민국 에너지 전환의 중심이자 세계가 주목하는 혁신 거점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