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금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지난 4일 전북일보 리더스아카데미 12기 2학기 6강이 한국전통문화전당 4층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강연자는 리더스 12기 원우인 김민호 엠에이치소프트 대표가 맡았다. 김 대표는 ‘인공지능의 발전과 미래’라는 주제로 AI의 발전과 명암 등에 대해 논의했다. 김 대표가 운영하는 엠에이치소프트는 교사·학생 간 양방향 미러링을 지원하는 스마트학습관리 솔루션 ‘U-Class 3.0’을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또 최근 K-에듀테크 콘테스트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먼저 김 대표는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적 행동을 컴퓨터나 기계가 모방하거나 구현하는 기술이다”며 “어느 순간 기계가 사람을 인식하는 능력이 발전해 음성인식이나 이미지인식 기술이 뛰어나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트머스 회의에서 인공지능이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됐다”며 “초기에는 부족함이 많았으나 1997년 체스대회에서 전세계 챔피언을 기계가 이기는 사건을 계기로 딥러닝 혁명이 일어나 오늘날의 생성형 AI 시대가 열렸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이제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다”며 “현재의 AI는 사람이 연구를 하면 한 달이 걸리는 과정을 몇 초 만에 해결할 수 있는 상태이고, 앞으로도 점점 더 무섭게 발전할 것이다”고 진단했다.
AI의 명암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김 대표는 “AI가 발전하면서 일도 잘하고 문서도 쉽게 만드는 세상이 됐다”면서도 “AI가 개발된 이후 아마존은 1만4000명에게 해고 통보를 전했고, MS 등도 마찬가지였다. 또 CCTV 등 세상에서 만들어지는 여러 정보들로 인해 범죄에 이용되는 등 안 좋은 모습이 생겨났다. AI의 좋은 점과 나쁜 점이 있지만, 무엇을 선택할지는 결론적으로 우리의 몫이다”고 강조했다.
최근 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하는 피지컬 AI에 대해서는 “피지컬 AI는 자율주행차, 드론처럼 물리적 형태를 갖추고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AI이다”며 “음성, 센서 등 총체적인 내용이 합쳐져 결국 사람을 대응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이다”고 했다.
김민호 대표는 “전북이 피지컬 AI에 도전하는 것은 어려운 기술이 있을지 모르지만, 무한한 공간을 만들어 피지컬 AI 생태계를 분석하고 네이버나 현대자동차 등 다양한 미국 대기업들과의 협업을 유치하려 한다”고 말하며 강의를 마무리했다.
김경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