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1조 원대 ‘피지컬 AI’ 상용화 사업 전 실증사업 마무리 총력

389억 실증사업 연내 마무리…내년 정부 본사업 공모 앞둬 현재 실증 사업 제조·물류 리빙랩 구축, 3개 기업 참여해 PoC 운영 국비 219억·지방비 18억·민자 151억… 참여형 구조

피지컬AI실증 단지 조감도

전북특별자치도가 역점 추진 중인 피지컬AI 실증사업이 연말 막바지 행정 절차를 밟고 있다.

정부 추경으로 반영된 390억원 상당의 실증사업비는 연내 집행이 마무리돼야 내년 본사업 추진을 위한 자격 요건이 충족되는데, 전북자치도는 올해를 대규모 사업 착수를 앞둔 개념검증(PoC) 단계로 보고 절차를 밟고 있다.

특히 상용화를 위한 1조 원대 본사업 정부 공모가 본격화되는 내년부터는 실증 결과를 토대로 사업 속도를 높여 ‘전북형 AI 산업 전환 모델’을 구체화한다는 것이 전북자치도의 구상이다.

6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에 선정된 ‘산업특화형 피지컬 AI 선도모델 및 PoC 실증사업’의 집행을 위해 행정안전부 수시 중앙투자심사(중투)를 요청했고, 중투심사가 현재 막바지 절차단계에 있다.

총사업비는 389억 원으로, 국비 219억 원에 도·전주시·완주군 지방비 18억 원, 민자 151억 원이 더해진다. 300억 원 이상의 행안부 사업인 만큼 전북도는 중투 통과 후 곧바로 집행에 들어가 연내 행정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도는 제조와 물류 분야 각각 1개 리빙랩(Living Lab)을 조성해 3개 참여기업이 실제 생산라인에서 피지컬 AI 기술을 시험하도록 설계했다.

인공지능(AI), 로봇, 센서 기술을 융합해 생산공정을 자동화하고, 다크팩토리(무인 스마트공장) 구현 가능성을 검증한다.

이번 실증은 공정 안전·품질·비용 개선 효과를 데이터로 분석해, 내년 본사업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1조 원대 본사업으로 가는 사전 단계로 볼수 있는데, 이미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적정성 검토를 진행 중이다. 

올해 실증을 통해 기술 모델과 기업 풀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면 내년 공모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게 도의 판단이다.

민간 비중이 총사업비의 40%에 가까운 151억 원으로 높은 것도 특징이다. 장비와 소프트웨어, 라인 개조, 실증 운영비 등이 현금·현물 형태로 투입되고, 기업은 직접 실증에 참여해 기술을 검증한다.

공공이 방향을 제시하고 기업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하는 참여형 구조로, 도는 주력 산업인 기계·모빌리티·농생명 분야를 중심으로 수요가 확인되는 공정부터 단계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도는 이번 실증을 통해 실제 공장과 물류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기술 모델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실증 종료 이후에는 라인 표준화·인증·인력훈련 등 상용화 지원 패키지로 이어지는 사후 전략도 병행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실증은 1조 원 본사업의 사전 단계로, PoC를 통해 리스크를 낮추고 기술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이라며 “AI 전환은 이재명 정부의 핵심 기조인 만큼, 전북이 가장 먼저 AI 산업 전환 기반을 갖춰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준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