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뉴욕에서 분 작은 나비효과(Butterfly Effect), 익산에 새로운 바람으로

최병관 전 전북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최병관 전 전북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얼마 전 세계의 시선이 뉴욕으로 향했다. 34세의 젊은 리더 조란 맘다니가 뉴욕시장에 당선되며 ‘변화의 상징’으로 주목받았다. 그는 화려한 경력보다 시민의 삶을, 구호보다 진심을 택했다. 뉴욕 시민들은 관성보다 변화를, 약속보다 실천을 선택했다. 그의 승리는 세대교체를 넘어 ‘새로운 도시 감각의 전환’을 보여줬다.

이 사건은 단순한 정치의 변화가 아니라 전 세계 도시정책의 흐름을 바꾼 ‘작은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라 할 수 있다.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는 “브라질의 나비 한 마리의 날갯짓이 텍사스의 토네이도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도시의 변화 또한 그러하다. 한 정책, 한 실험이 도시 전체의 방향을 바꾸고 결국 국가의 변화를 이끈다. 나비효과는 작은 움직임이 예기치 못한 거대한 변화를 이끌어내는 상징이다. 도시의 혁신도 이런 파동처럼, 한 사람의 의지와 공동체의 실천이 맞물릴 때 비로소 현실이 된다.

익산의 변화 역시 화려한 구호보다, 시민의 일상 속 작은 실천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익산의 지난 10년은 도시의 기반을 다진 시간이었다. 산업단지 조성, 교통망 확충, 생활 인프라 정비 등 물리적 토대를 갖췄다면, 이제는 도시의 감각을 새롭게 세워야 할 때다.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익산은 더 이상 멈춰 있을 수 없다. 다음 10년은 익산다움을 회복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새롭게 리브랜딩해야 하는 시기다. 그 중심에는 젊음과 다양성, 그리고 익산의 고유한 정체성이 있다. 최근 논의되는 익산형 돔구장, 익산역 광장 회복, ‘보석도시 익산’ 프로젝트, 미디어아트 혁신 등은 단순한 시설사업이 아니라 도시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함께 설계하려는 시도다.

도시의 경쟁력은 인프라보다 그 안의 스토리와 시민의 참여에서 완성된다. 익산은 더 이상 따라가는 도시가 아니라, 자신만의 색과 이야기를 가진 창의도시로 나아가야 한다. 익산은 익산다워야 한다.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복제된 도시가 아니라, 역사와 산업, 문화가 어우러진 도시로 자리 잡아야 한다. 백제문화의 깊이, 보석산업의 전통, 철도 교통의 요지라는 입체적 자산이 조화를 이룰 때 도시는 살아난다. 여기에 젊은 감각과 창의가 더해질 때 익산은 ‘살아 있는 브랜드’가 된다.

또한 익산은 젊어져야 한다. 도시를 젊게, 산업을 젊게, 문화와 정책을 젊게 만들어야 한다. 원도심에는 청년과 예술의 기운을, 산업에는 혁신 기술을, 도시 공간에는 즐길 거리와 머물 거리를 채우는 전환이 필요하다. 단순한 인구 유입이 아닌, 머물고 싶은 도시, 함께 성장하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

도시의 본질은 하드웨어가 아니라 사람과 문화의 에너지다. 지속 가능한 도시는 행정의 속도보다 시민의 공감에서 태어난다. 지역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작은 실천으로 변화를 만들어내는 시민의 힘이 모일 때 익산은 진정으로 성장할 것이다. 행정이 길을 닦고, 시민이 그 길을 함께 걸을 때 도시의 변화는 완성된다.

이제 익산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필요하다. 과거의 익산이 산업의 중심이었다면, 미래의 익산은 문화와 기술, 창의가 공존하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 청년이 도전하고, 시민이 참여하며, 문화가 흐르는 도시 — 그것이 익산의 다음 10년을 결정지을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작은 날갯짓이 큰 바람을 일으키듯, 익산의 내일도 새로운 에너지 속에서 다시 피어날 것이다. 뉴욕에서 시작된 나비효과가 이곳 익산에서도 희망의 바람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최병관 전 전북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