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사노조 “초등교사 출신 3급 고위직은 0명…교직사회 불균형 구조 깨야”

초등교원 및 교원 출신 교육전문직 419명 대상 설문조사 "초등교사도 교육국장 등 고위직 될 수 있어야"

전북교사노조 로고

 

전북교사노조(위원장 정재석)는 “교육감 직선제가 도입된 이후 지난 23년간 전북교육청의 3급 고위직에 초등교사 출신은 단 한명도 임명된 적이 없다”며 개선책 마련을 요구했다.

노조는 지난 11월4일부터 7일간 초등교원과 초등교원 출신 교육전문직 4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초등교사도 교육국장·전주교육장 될 수 있어야 한다’라는 답변이 97%를 차지했다고 10일 밝혔다.

노조는 초등 교사가 맡을 수 있는 전북교육청의 3급 고위직은 교육국장, 정책국장, 전주교육장이라고 설명한 뒤 “이들 대부분을 중등 교사 출신이 도맡아 왔고 초등 출신은 임명된 사례가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교육감 직선제 시행 이후 23년간 전북교육청의 3급 고위직(교육국장, 정책국장, 전주교육장) 가운데 초등교사 출신은 단 한 명도 없었다. 현재 역시 교육국장과 전주교육장은 중등 출신이고 정책국장은 개방직이다.

반면 강원, 경기, 경남, 광주, 전남, 충남, 충북, 경북 등 여러 시‧도에서는 초등 교사 출신이 교육국장이나 정책국장 등 주요 보직을 맡은 사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북에서는 김승환 교육감과 서거석 교육감 모두 중등 출신만을 임명해 온 것으로 파악됐다.

노조는 “초등교사에게도 공정하게 기회가 부여되어야 한다”며 “23년간 이어져 온 중등 중심 인사 관행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북의 교육행정이 진정한 균형과 포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학교급을 이유로 한 보직차별이 더 이상 반복되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