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삼성전자 고창 물류센터 착공, 그 뒤엔 황민안 정책관의 보이지 않는 땀방울

고창군 신활력경제정책관실, 민선 8기 최대 투자유치 성과 이끌어

황민안 고창군 신활력경제정책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이 삼성전자 스마트허브단지(물류센터) 착공으로 미래 첨단물류 중심지로 도약하고 있다. 3,500억 원 규모의 초대형 투자사업은 단순한 기업 유치를 넘어 농산어촌형 지역경제를 첨단 산업생태계로 전환하는 신호탄이 됐다. 그 중심에는 황민안 고창군 신활력경제정책관의 보이지 않는 노력이 있었다.

황민안 정책관은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신설된 ‘신활력경제정책관실’을 총괄하며, 기업유치·산업단지 관리·투자지원의 실무 사령탑 역할을 맡았다. 그는 삼성전자와의 첫 투자협약부터 착공식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챙기며, 인허가·설계·입지조정 등 복잡한 행정 절차를 군과 기업 간 ‘원스톱 행정창구’로 정립했다.

특히 황 정책관은 삼성전자 측과 수십 차례의 실무협의를 주도하며 사업 부지인 고창신활력산업단지의 기반시설, 도로, 전력 인입 등 핵심 인프라를 신속히 조성할 수 있도록 조정했다. 그는 내부적으로 “기업과 주민이 함께 만족할 수 있는 설계와 지원체계를 마련하라”는 지시를 반복하며 ‘상생형 산업단지’ 조성에 방점을 찍었다. 각종 인허가 절차를 예정보다 앞당겨 처리하면서 행정의 신속성과 신뢰를 동시에 확보했다는 평가다.

또한 황 정책관은 지역사회와의 상생에도 집중했다. 물류센터 건설 과정에서 지역 업체 참여율을 높이고, 향후 물류·식자재·숙박 등 연관 산업의 지역 내 소비 순환 구조를 구상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 투자가 단순히 외부 자본 유치에 그치지 않고, 지역경제 전반의 활력을 불어넣는 ‘고창형 순환경제 모델’로 이어지도록 설계했다.

군의회와 공론장에서는 “삼성전자의 투자는 단순한 기업 유치가 아니라 고창의 미래산업 기반을 여는 전환점”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황 정책관은 스마트허브단지와 연계한 청년창업·물류직업훈련·산학협력 프로그램을 기획해 지역 인재 육성의 후속 기반도 다지고 있다.

황민안 정책관은 과거 전북도청 경제 관련 부서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의 업무를 맡아 지역 산업정책과 기업지원 업무를 두루 경험한 경제행정 전문가다. 이러한 경력은 민선 8기 고창군의 핵심 정책 기조인 ‘미래산업 기반 확충’과 맞물려 실질적 성과 창출의 밑거름이 됐다.

그의 치밀한 행정력과 협상력은 군과 기업 간 신뢰를 구축했고, 그 결과 고창군은 전북 서남권 최초로 초일류 대기업인 삼성전자의 첨단물류시설을 유치하는 쾌거를 거뒀다. 황 정책관은 “이번 투자는 고창의 산업지도를 바꾸는 출발점”이라며 “군민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보이지 않는 자리에서 세밀한 조율과 조정으로 민선 8기 최대 규모의 투자를 현실로 만든 황민안 정책관. 그의 땀방울이 쌓여 고창군은 지금, 대한민국 서남권 경제지도의 중심으로 향하고 있다.

현재 그는 심덕섭 고창군수와 함께 삼성전자 물류센터에 이어 노을대교 조기 착공과 서해안철도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고 있다. 고창군의 미래 산업 인프라 확충을 위한 황민안 정책관의 다음 도전이 주목된다.

고창=박현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