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문학사의 체계적 정리와 연구에 힘써온 최명표 문학평론가가 신간 <부안문학론>(신아출판사)을 펴냈다.
이번 책은 <정읍시인론>(2021), <무주문학론>(2023)에 이어 지역문학 연구 시리즈의 세 번째 결실로, 부안의 문학사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연구서다,
약 500쪽 분량의 이번 평론집은 총 5부로 구성돼, 부안의 문학적 지형을 입체적으로 복원한다. 표지에는 1930년대 월명암 사진과 내소사 전경을 담아 문학사적·사료적 가치를 더했다.
제1부 ‘비평가론’에는 김철수·신일용·김태수·김아를 다뤘다. 특히 김철수에 대해서는 와세다대 유학 시절 식민지 농민과 노동자의 현실을 고발한 글 2편을 발굴·수록해, 그의 사상적 출발점을 재조명했다. 신일용은 의사 출신 독립운동가로, 기미년 전주 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조선노동공제회 창립에도 참여한 인물이다. 저자는 그를 우리나라 최초의 필화사건 당사자로 소개하며, 전기적 복원과 함께 사상적 글쓰기의 면모를 세밀히 추적했다. 김태수는 소설가로 등단했으나, 만세운동 이후 부안의 사회운동에 헌신한 인물로, 그의 평문을 통해 카프의 방향전환기의 사상적 흐름을 읽어낸다. 김아에 대해서는 짧은 생애 속 남긴 미발표작 2편을 발굴해, 해방 전후의 시대상과 연계해 논의했다.
제2부 ‘시인론’에서는 신석정, 김민성, 김형영, 김영훈, 백송, 강민숙, 최기종, 김동필 등 부안 출신 시인들의 작품세계를 분석했다. 제3부 ‘시집평’에는 송희철, 김선, 최광임, 배귀선, 이은송, 고선 등 지역 시인들의 시집에 대한 평문이 실렸다. 제4부 ‘아동문학가론’에는 백양촌, 김용재, 최균희, 이준섭 등을 다뤘다.
최명표 평론가는 그동안 <전북문학비평가론>, <전북시인론>, <전북지역아동문학연구>를 비롯해 <이익상문학전집>(4권), <전북근대문학자료>(7권), <신문으로 읽는 식민지 전북>(5권) 등을 펴냈다. 그의 꾸준한 연구와 발굴 작업은 전북 문인들의 문학사적 위치를 재정립하는 데 기여해왔다.
전현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