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GTC 현장을 가다] ③ AI 이후의 세계 “지금 태어나는 세대, AI 없는 세상 경험하지 못할 것”

GPU·전력망·클라우드가 연결된 초국가적 AI 생태계 현재진행형 챗GPT 만들어낸 오픈 AI 주역들 “AI 도입과 활용단계 지나”단언 AI, 스마트폰 이상으로 인간의 삶 바꿔 “두뇌 밖 두뇌”로 자리매김 앞으로는 양자컴퓨터의 세계로 진입 ‘AI 사용 능력’이 문명사회 기본

(왼쪽부터)딘 코스터, 알렉시스 보넬, 필리페 밀론 등 오픈 AI와 엔비디아 임원들이 앞으로의 AI시대를 논하고 있다. 사진=김윤정 기자

“제가 얼마 전 할머니가 됐습니다. 손자가 태어난 것이죠. 제 손자 세대의 친구들은 AI가 없던 세상을 아예 경험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AI가 없던 시대의 생활 양식을 역사 속에서나 배우게 될 겁니다.”

챗GPT를 만들고 운영하는 회사인 오픈 AI의 공공부문 파트너십 총괄자인 알렉시스 보넬(Alexis Bonnell)은 앞으로 미래에 대한 전망을 묻자 이같이 밝혔다.

이는 단순한 기술이나 산업적 전망이 아니라, 전 인류의 생활 기반이 AI를 기반으로 재편될 것이라는 선언에 가까웠다.

전북이 피지컬 AI 사업에 미래를 거는 동안 미국 정부와 기업들은 AI 혁명의 다음 단계를 준비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양자컴퓨터 분야의 핵심 인물들은 AI를 넘은 양자 혁명을 이야기했다.

두 세션은 완벽히 서로 다른 주제를 다뤘지만, 결론은 한 방향을 가리켰다. AI와 인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연산은 이미 사회 기반이 됐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국가·정부·개인에게 AI 기반의 사회는 선택지가 아닌 받아들여야 할 문명이 됐다.

협력체계를 구축한 엔비디아와 오픈AI. 맨 왼쪽이 오픈 AI의 샘 올트먼, 왼쪽 세번째가 엔비디아의 젠슨 황. 사진=엔비디아

△교육현장은 AI금지, 기업은 AI 활용인재를 찾는 시대

지난달 28일 엔비디아 GTC 현장에서 열린 ‘신뢰할 수 있는 정부 AI 가속화 : 기초 모델에서 임무 성과까지 (Accelerating Trustworthy AI for Government: From Foundation Models to Mission Impact)’세션은 단순히 정부 업무에서의 AI 전망을 넘어 전 인류 생활 전반에 이미 AI가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는 사실을 짚었다.

이 과정에서 국가와 기업이 어떤 역할을 해야 AI를 잘 활용할 수 있는지가 이번 세션의 최대 화두이기도 했다.

사회를 맡은 딘 코스터 (Dean Koester) 엔비디아 연방 영업 부사장(Vice President, Federal Sales)은 오픈AI 인공지능 파트너십 매니저(AI Partnership Manager, OpenAI) 알렉시스 보넬을 소개했다.

보넬의 첫 인사는 뼈 있는 자기소개로 시작했다. 그는 “제가 오늘 아침 할머니가 됐다”며 “이제 이 아이는 AI가 없는 세상을 경험하지 못한다. 그 세대가 건강하게 기술과 공존하도록 만드는 게 우리 세대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보넬은 자신의 딸 이야기도 했다. “딸이 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는데, 챗GPT 등 AI 활용 문제로 학교가 난리가 났다”며 “‘학교에선 AI 금지’라는 경고가 일반화됐다. 그런데 우리 오픈AI나 엔비디아 등 기업 리더들은 AI를 잘 쓸 줄 아는 사람을 어떻게 찾느냐가 고민이다”고 했다.

그는 이어 “결국 이 간극이 미래 교육을 바꿔놓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인맞춤형 비서로 진화하는 AI이미지. 사진=김윤정 기자

마이크를 이어받은 펠리페 밀론 (Felipe Millon) 오픈AI 정부 영업총괄 매니저(Head of Government Sales, OpenAI)는 정부 현장의 통제와 경직성이 AI 도입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꼬집었다. 

밀론은 “AI를 잘 쓰고 이해하려면 결국 AI를 통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운동에 대해 책만 읽는다고 몸이 좋아지지 않듯, AI도 직접 활용을 할 줄 알아야 그 기관이나 정부가 AI를 산업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밀론은 여기서 말을 이해하기 쉽게 덧붙였다. AI는 이제 공장식으로 찍어내는 일률적인 상품이나 체제가 아니라 맞춤형으로 이미 진화했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스타워즈 매니아라며 “기존 정부 시스템은 ‘스톰트루퍼 수트’ 같았다. 모두 같은 장비를 입고 같은 방식으로 일했다”면서 “하지만 AI는 ‘어벤저스 수트’처럼 각자의 능력과 스타일을 살릴 수 있다”고 비유했다.

△챗GPT 주역들이 말한 AI생태계 ‘정부 지원’이 아닌 ‘시스템 재설계’

챗 GPT를 만든 주역들인 이들은 정부의 AI 산업 정책 마인드를 ‘지원’이 아니라 ‘시스템 재설계’로 바꿔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 관점에서 전북을 보면, 전북의 피지컬 AI 구상은 방향 자체는 옳지만 내용은 민간보다 행정 중심의 “예산형 산업”에 머물러 있다. 진짜 피지컬 AI는 전력, 제조, 로봇, 물류, 에너지 인프라가 AI로 연결된 상태라는 것이다.

대한민국은 지금도 AI를 산업진흥의 한 축으로 다루며, 마치 새로운 산업군처럼 육성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이번 세션에서 드러난 흐름은 완전히 달랐다. 이미 AI는 경제 분야를 넘어 개인의 의사결정부터 ·과학·전력·행정 등 모든 인프라를 잠식하고 있었다.

양자 컴퓨터 패권을 이야기하는 패널들. 사진=김윤정 기자

△AI는 기본 인프라, 진짜 기술 패권은 ‘양자컴퓨터’

같은 날 진행된 ‘미국의 양자 리더십 강화(Advancing U.S. Quantum Leadership)’세션은 -미국이 양자컴퓨팅(Quantum Computing) 분야에서 어떻게 세계 선두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것인가를 주제로, 정부·산업·연구기관 리더들이 토론한 자리였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빠르게 복잡한 계산을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계산기술로 인공지능·신약개발·암호보안·에너지 연구 등 모든 분야의 ‘게임체인저’로 꼽힌다.

쉽게 말해 현재의 컴퓨터 등 자동 연산장치가 자동차라면, 양자컴퓨터는 우주왕복선 수준의 기술 발전이다.

패널로는 찰스 타한(Charles Tahan) 마이크로소프트 파트너(Partner, Microsoft), 셀리아 머즈배커(Celia Merzbacher) 양자경제개발컨소시엄 전무(Executive Director, QED-C at SRI International), 지아 투라시(Georgia Tourassi) 오크리지국립연구소 컴퓨팅·계산과학 부소장(Associate Laboratory Director for Computing and Computational Sciences,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케이트 티머먼(Kate Timmerman) 시카고 양자 교류연구소 CEO(Chicago Quantum Exchange), 니컬러스 해리건(Nicholas Harrigan) 엔비디아 양자 제품 마케팅 매니저(Product Marketing Manager for Quantum, NVIDIA)가 참석했다.

양자컴퓨팅 기업 IQM과 협력체계를 만든 엔비디아. 사진=엔비디아

이들은 “신약이나 신소재 개발, 그리고 정책 용역을 하려면 최소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리지만, 양자컴퓨터가 상용화하면 실시간으로 이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한마디로 양자컴퓨터가 도입되면 복잡한 문제 물류·에너지·도시 인프라 등을 더 현실적이고, 빠르게 계산하는 시대가 열린다는 것이다.

전망에 대한 설명은 짧게 끝났으며, 실제 세션은 미국이 양자컴퓨팅 기술을 주도하기 위한 행정과 전문가 집단의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방법론이 주를 이뤘다.

미국 워싱턴D.C.=김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