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고창천이 대대적인 정비를 통해 ‘안전한 하천’으로 재탄생한다. 고창군은 14일 고창읍 일원에서 ‘고창천 지방하천 정비사업’ 기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공사 착수를 선언했다. 이날 행사에는 심덕섭 고창군수, 이선덕, 조규철, 이경신, 박성만, 임종훈 고창군의회 의원, 고창읍 이장협의회장, 지역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해 오랜 숙원사업의 출발을 함께했다.
이번 정비사업은 총사업비 653억 원을 투입해 고창천 11.23㎞ 구간에 제방 보강, 교량 재가설 14개소, 가동보 정비 3개소 등을 포함한 체계적 하천 재정비를 추진하는 사업이다. 2025년 10월 착공해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사업 전 구간에서 홍수 대응력 향상과 하천 환경 개선을 동시에 추진한다.
특히 고창읍 시가지 1.56㎞ 구간은 상가·주거지가 밀집해 있어 하천 폭 확장이 어렵다. 이에 군은 하천 바닥을 파내 홍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하상굴착’ 방식을 적용해 도심부 홍수위 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계획이다.
고창천은 집중호우 때마다 침수 피해 위험이 높아 군민들의 우려가 컸던 지역으로, 이번 정비가 완료되면 도심 침수 위험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고창읍을 관통하는 고창천은 지역의 대표적인 생활하천이지만, 과거 기후 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가 발생할 때마다 큰 피해가 반복됐다. 2005년(일 105.5㎜), 2009년(126.5㎜), 2011년(420㎜), 2012년(103㎜) 등 큰 비가 여러 차례 쏟아졌으며, 특히 2011년에는 하류 농경지와 시가지 저지대가 물에 잠겨 190명의 이재민과 8억 원 규모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피해의 주요 원인은 강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창천의 홍수 소통 능력이 과거 수준에 머물러 하류에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데 있었다. 군은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제방 보강, 교량 정비, 가동보 개량 등 종합 하천 개수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이번 대규모 지방하천 정비 사업이 그 핵심 프로젝트다.
고창천 정비의 출발점은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심덕섭 고창군수가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실장으로 재직하며 처음 국비 예산을 반영한 이후, 수년간의 계획 수립과 관계기관 협의 등이 이어지며 사업이 구체화됐다. 하지만 도심부 하천 정비의 난이도와 복잡한 협의 절차로 인해 사업 추진은 수년간 지연되기도 했다.
그러나 2022년 민선 8기 출범 이후 군은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했다. 심 군수는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하천정비는 타협할 수 없는 최우선 과제”라며 “100년 빈도의 집중호우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천 방어력을 높이라”고 지시했고, 설계와 사업비 협의 등 주요 절차가 빠르게 마무리되고 있다.
고창군은 고창천을 단순한 치수(治水) 중심 하천에서 벗어나, 군민의 휴식·산책 공간으로 거듭나도록 하천 환경을 개선할 방침이다. 정비 과정에서 제방 산책로 정비, 하천부지 안전시설 확충, 수변 경관 개선 등이 함께 추진되며, 홍수 위험을 낮추면서도 생활하천의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심덕섭 군수는 “고창천 정비는 군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사업이면서, 동시에 고창의 대표 환경자원을 되살리는 일”이라며 “정비가 마무리되면 군민 누구나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친환경 하천으로 재탄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창군은 앞으로도 연속적인 하천정비와 선제적 대응 체계를 구축해 기후위기 시대에 대비한 안전한 도시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고창천 지방하천 정비사업이 완료되면 고창읍 도심 침수 위험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지역 발전을 견인할 야외 여가공간 창출 효과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고창=박현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