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선 고속철도 증편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전주시와 전주시정연구원은 지난 14일 전주역 고속철도 증편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한 정책 토론회를 열고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전라선 고속철도의 증편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관용 전주시정연구원 연구위원에 따르면 전라선은 지속적인 여객 수요 증가에도 운행 횟수가 부족한 상태다. 실제로 고속열차(KTX, SRT) 운행 횟수를 보면 전라선은 46회(KTX 42회, SRT 4회), 호남선은 92회(KTX 52회, SRT 40회), 경부선은 216회(KTX 136회, SRT 80회)로 지역별 편차가 크다.
이와 관련 김 연구위원은 전주시의 낮은 철도(일반철도, 고속철도, 지하철) 수단분담률을 언급하기도 했다.
2023년 기준 전주시 수단분담률은 승용차 88.8%, 버스 10.9%, 철도 0.3% 등으로 조사됐다. 전주시를 비롯한 전주권(익산시, 군산시, 김제시, 완주군) 수단분담률 역시 승용차는 가장 높고, 철도는 매우 낮았다.
이에 반해 타 대도시권 철도 수단분담률은 수도권 18.5%, 부산·울산권 7.6%, 대구·광역권 7.0% 등으로 전주권에 비해 높았다.
김 연구위원은 “도로 중심의 전주권 교통 체계를 철도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대광법) 개정으로 전주권이 대도시권에 포함된 점을 언급하며 “국가균형발전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전주시 역시 철도 중심의 교통 체계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현 한국교통대학교 교수는 지난해 고속철도 수송 실적을 분석하며 전주역의 평일·주말별 초과 수요, 경부선·호남선과의 운행 형평 등을 비교·분석했다.
이와 관련 김 교수는 “전라선 운행 편수가 현저히 적어 전주~서울, 전주~용산, 전주~광명 등 수도권 구간의 예약 실패가 집중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피크시간대인 주말과 평일 오후(2시~7시) 추가 열차 투입과 좌석 증편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타 노선의 열차를 전라선(전주역) 정차로 전환하는 방식의 탄력적인 운행도 제안했다.
또 토론자들은 광역 교통망 구축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며 KTX·SRT 통합, 평택~오송 2복선화 등 철도 운행 계획이 재조정될 시기를 전라선 증편의 기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성윤 국회의원은 “전라선 고속열차표 구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전라선 고속철도가 증편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민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