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설공단 채용 공정성, 시의회에서 도마 위

경력 부족한 임원, 낙하산 인사 지적에 이사장 “임추위 판단” 임기제 전문성 부족하고, 정규직 필기 불합격자 합격하기도 “전주 대표 공공기관 신뢰 훼손…채용 투명성·공정성 확보를”

전주시의회가 18일 전주시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 돌입했다. /전주시의회

전주시설공단의 불공정한 채용 시스템이 도마 위에 올랐다. 전주시 최대 산하기관인 전주시설공단이 전주시장의 ‘측근 챙기기’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는 것이다.

전주시의회는 18일 전주시설공단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시설본부장(상임이사), 홍보마케팅팀장의 낙하산 인사 의혹을 제기했다.

최서연 전주시의원은 이날 임원급인 시설본부장 채용과 관련해 자격 부족, 검증 부실을 지적했다.

최 의원은 “공단 인사 규정에서 요구하는 부장 역량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수백 명의 직원과 조직을 이끄는 자리임을 고려했을 때 이런 검증 부실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서류 심사는 정량·정성평가로 이뤄진다. 정량평가와 관련해 부서에서 작성한 해당 임원의 경력 점수 검토안은 비어있다”며 “자격 요건에 대한 객관성조차 잃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연상 전주시설공단 이사장은 “자격 여부는 임원추천위원회에서 판단하는 사항”이라며 “우리는 그 결과를 존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해당 임원의 연봉 책정 기준을 따져 묻기도 했다. 그는 “관련 경력을 인정받기 어려운 상황이었는데도 해당 임원은 연봉 협상 과정에서 4급 9호봉을 부여받았다”며 구체적인 조항과 적용 근거를 요구했다.

이러한 질문에 이 이사장은 “경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답변했다.

임기제인 홍보마케팅팀장 채용을 둘러싼 문제 제기도 이어졌다.

최 의원은 “전문성 강화라며 임기제를 도입했지만 운영직(일반 직원) 기준보다 자격 요건이 낮다. 이는 전문가 채용이라는 목적과 모순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직무수행계획서조차 받지 않은 채용 방식으로 어떻게 전문성을 검증하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특히 그는 해당 팀장을 채용한 뒤 임기제 인사 규정을 폐지한 것을 두고 “특정인을 채용하기 위해 제도를 만들고, 다시 없애는 것은 전형적인 맞춤형 인사 제도”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이 이사장은 “직무수행계획서를 요구하지 않은 것은 실수였다”고 인정하면서도 “임기제는 별도 기준에 따라 운영되는 것”이라고 답했다.

운영직 공개채용 역시 논란이 됐다.

필기 불합격자가 면접에 참여해 최종 합격한 것과 관련해 이 이사장은 “실무진이 배수 기준을 잘못 적용해 예비합격자가 면접을 보고 최종 합격했다”며 “대형 실수를 범했다.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러한 답변을 들은 최 의원은 “직원들에게는 여러 검증을 거치고 진행되는 채용이 팀의 리더라고 할 수 있는 팀장, 공단을 이끄는 임원에게는 내로남불식으로 과정은 간소하고, 검증 내용은 불투명하다”며 “낙하산 인사 논란 등은 전주시 대표 공공기관으로서 신뢰를 근본적으로 훼손한 사안”이라고 질타했다.

이국 전주시의원도 전주시설공단의 채용 잡음에 우려를 표하며 “공단의 잘못에 대해 누구도 책임지려하지 않는다”며 “공단이 새롭게 태어나기 위해서는 철저한 검증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주시설공단 시설본부장은 전주시장 비서실, 홍보마케팅팀장은 전주시장 선거캠프 출신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