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유치에 나선 전북이 가장 집중할 것은 바로 학교체육 활성화다. 총체적 위기에 빠진 전북체육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또 하나의 축인 직장운동부인데 도내 기업체나 공공기관 등이 재정난을 이유로 팀 운영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게 엄연한 현실이다. 결국 장기적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초중고는 물론, 대학부 등 학교체육을 살리는 거다. 전북특별자치도체육회가 지난 19일 개최한 ‘2025년 전북체육 발전을 위한 세미나’ 에서는 이와같은 의견이 주류를 이뤘다. 단순히 소년체전이나 전국체전에서 전북의 순위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기반이 허약한 지금 상황이 계속된다면 전북체육의 밝은 미래는 있을 수 없다. 학교운동부는 가장 근원적 문제를 안고 있다. 도내 학생선수는 2022년 4,268명에서 올해 7월 기준 2,553명으로 40%나 감소했다. 대학운동부 역시 대동소이하다. 도내 8개 대학 47종목 가운데 기숙사비를 자부담하는 종목이 31종목, 식비를 자부담하는 종목이 38종목이다. 허약한 직장운동부는 전북이 전국체전에서 만년 하위에 그치는 원인이다. 올 전국체전에서 남자 자유형 200m 경기에서 아시아 신기록을 수립한 강원도청 황선우(수영)의 경우 몸값이 무려 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상대적으로 예산 배분을 꺼려하는 전북으로선 이러한 스타급 선수를 데려오는 건 꿈같은 얘기다. 전북 직장운동경기부는 숫자만을 놓고보면 43개로 전국 17개 시·도 중 10위권 수준이다. 하지만 사실은 속빈 강정이다. 전체 팀의 86%가 지자체와 체육회에 의존하고 있다. 민간기업이 운영하는 팀이 4개, 공공기관이 2개 팀에 불과해 대형 선수를 유치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전북의 전국체전 종합순위는 2022년 이후 13위와 14위를 겨우 유지하고 있다. 향후 전북체육의 가늠자라고 할 수 있는 전국 소년체전 성적도 아쉬움이 많다. 2021년 87개였던 메달은 꾸준히 감소해 올해의 경우 59개에 그쳤다. 과거처럼 소년체전이나 전국체전 성적에 연연하는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전북이 도세에 비해 체육 분야가 너무 약한게 엄연한 현실이다. 당장 성적을 내지 못하더라도 초등과정부터 꾸준히 우수 선수를 육성하는 중장기 프로그램이 일관성 있게 추진돼야만 전북의 미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