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에 불어온 정치의 계절…‘공직사회·정치권 주판알 굴리기’에 예산 작업 삐걱

빨라지는 지선시계에 공직기강 파열음 현역 자치단체장 피부로 느끼는 상황 예산확보 활동 등에서 소극적 스탠스 행정사무감사는 주군 위한 대리전으로

내년 6월 치러질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반년밖에 남지 않으면서 전북특별자치도를 비롯한 도내 공직사회의 ‘사내정치’도 노골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관련기사 3면)

공직사회의 주판알 굴리기가 심화하면서 내년도 국가 예산 확보작업에도 파열음이 감지되고 있다. 정확히 지자체장 출마 예상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출마예정자들의 물밑 싸움이 가열되면서부터다.

지방선거전 개막과 함께 공직사회에도 자신들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치의 계절이 찾아온 셈이다.

20일 전북정치권과 자치단체 관계자들 다수에 따르면 전북자치도를 중심으로 노골적인 줄서기와 눈치 보기 현상이 지난 선거때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심해졌다. 

앞서 우려했던 것과 같이 공직기강이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다. 지금의 사태는 현역 자치단체장들이 피부로 느끼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번 지선에서 전북도 등 공직사회가 부화뇌동하고 있는 것은 도지사 선거 구도가 예년과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고위공직자 출신인 김완주·송하진 두 인물 모두 전주시장에서 전북도지사로 넘어오는 과정을 거쳤고, 재선까지 무난하게 이뤄냈다. 비록 3선은 좌절됐으나 현재처럼 도지사 선거가 다자구도는 아니었다.

지금은 현역인 김관영 지사와 안호영·이원택 국회의원이 3자 대결 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정헌율 익산시장의 참전도 사실상 확정된 상황이다.

이원택 의원의 경우 송하진 시정과 도정에서 핵심 인물이었던 만큼 내부 사정에도 밝다는 후문이다. 안 의원 역시 3선을 역임하면서 자신의 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과거 도지사 선거 캠프에서 일했던 A씨는 “이들 중 누가 차기 도지사가 되느냐에 따라 ‘승진’이나 ‘부단체장’ 자리에 목을 매는 고위공직자들의 운명도 달라질 수 있어, 실적보다 처세에 활동의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고 전했다.

국회의원 보좌관과 자치단체 정무직 등을 두루 경험한 B씨는 “표면적으로는 공무원의 정치 중립의무가 엄격히 규정되어 있지만, 실제 현장 분위기는 완전히 다르다”며 “선거 전 인사 줄 바꿈, 암묵적인 태업 등 법망을 피하는 기술이 가히 예술적”이라고 꼬집었다.

지방 의회의 모습은 더 가관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북도의회 등 도내 지방 의회의 행정사무 감사가 지나친 과열 양상으로 비화하고 있다. 

정치권에선 이를 자신들의 진영을 이끄는 ‘주군’을 위한 대리전의 성격이라 보고 있다.

한마디로 자신의 권한을 전북을 발전시키기 위해 쓰는 게 아니라 자신이 모시는 주군의 경쟁 상대를 꺾기 위한 합법적인 네거티브 전략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도의회의 행정사무감사는 도내 각 지역위원장이 도지사 선거에 있어 어떤 스탠스를 취하고 있는지를 직간접적으로 반영했다.  

익명을 요구한 도내 자치단체 공무원 C씨는 “현역 단체장의 중점 추진 예산이나 현안사업을 담당하면 상대 진영에 속한 의원에게 무자비하게 공격 당한다. 단체장에 충성심을 보일 경우엔 그 정도가 더 한다”며 “반대로 적당히 일하는 공직자들의 경우엔 의도적 태업으로 간주돼 다른 출마예정자와의 커넥션을 의심받는다”고 말했다.

서울=김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