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점휴업 전주관광재단, 제 역할 찾아라

전주시의 새로운 출연기관인 전주관광재단이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전주시는 기존 전주문화재단과 한국전통문화전당의 기능을 통합하고, 관광산업을 더 체계적으로 육성한다는 취지로 지난해부터 전주관광재단 설립을 추진했다. 이후 지난해 12월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지난 8월에는 초대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 지역사회의 기대 속에 새로운 기관의 첫걸음이 시작됐다. 지난해 말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최종 지정된 전주가 글로벌 관광도시로 발돋움하는데 큰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했다. 공모를 통해 경력있는 관광 전문가로 인정받아 선임된 초대 대표이사도 ‘지역 특성을 반영한 관광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발굴·육성해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의지를 피력했다.

그런데 재단은 출범 100일이 넘도록 개점휴업 상태다. 아직껏 인력 구성조차 마무리되지 않았고, 중장기 전략 등 조직 운영의 로드맵도 나오지 않았다. 아직 설립 초기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무척 실망스럽다. 좀 더 지켜볼 필요성도 있지만, 지역사회의 기대 속에 상당 기간 논의를 거쳐 출범한 기관이라는 점에서 분명 문제가 있다.

조례에 명시된 전주관광재단의 역할은 △관광자원 개발·상품화 등 관광콘텐츠 확충 △국내외 관광 홍보 및 마케팅 △마이스(MICE) 유치 지원 △관광시장 조사·연구·컨설팅 △관광 전문인력 양성 △관광기업 육성 지원 등이다. 한옥마을 중심인 관광객 분포를 도시 전역으로 확대해 글로벌 관광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통합기구로서의 역할을 요구받는다. 그런데도 재단은 이제껏 어떤 역할을 어떻게 해낼지조차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까지는 사업보다는 전주 관광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과 행정업무에 집중하겠다’는 게 재단 측의 설명이지만 빈약하다.

재단 설립은 지난해부터 추진됐다.  공모과정에서 조직 운영의 의지와 청사진을 평가받아 선임된 대표이사가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어떤 일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미리 구상하고, 계획해 취임과 함께 이를 다듬어 보여줬어야 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조직이 추구하는 목표와 비전·전략, 사업 방향성 정도는 확실하게 정립해서 제시해야 할 것이다. 기대를 한 몸에 안고 취임한 조직 수장의 역할과 의지가 중요하다. 지역사회의 요구와 기대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