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은 유희경 선생과 매창 이향금 여사의 삶과 시(詩)는 단순한 천민문학이 아니라, 조선문학사에서 마땅히 동등한 위치로 재평가되어야 합니다”
호남고전문화연구원 이사장인 김병기(70) 전북대학교 명예교수가 지난 21일 제1회 촌은‧매창 추념 학술대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부안예술회관에서 열린 제1회 ‘촌은·매창 추념 학술대회’는 조선 중기 두 문인이 남긴 문학적 성취를 본격적으로 조망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첫 학문적 장이다. 그동안 각기 조명되던 매창과 촌은의 문학을 ‘쌍방(雙方)’의 관계적 문학으로 바라보자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매창 이향금은 부안에서 태어난 여류 시인으로, 기생이라는 신분적 제약 속에서도 당대 문인들과 교유하며 한문학에서 보기 드문 여성적 자의식과 섬세한 정한을 담아냈다. 촌은 유희경 역시 중인 출신이면서 사대부 문단에서 인정받은 사례로, 예(禮)와 시(詩)에 밝아 ‘양반이 배우러 간 천민’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두 사람은 조선 특유의 성리학적 신분사회 안에서 문학 활동 자체가 쉽지 않은 위치에 있었지만 오히려 그 제약은 두 문인의 작품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 학계는 이들이 남긴 연정시를 두고 ‘억압된 시대가 낳은 가장 인간적인 기록’이라 평한다.
이날 기조발표에서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는 조선과 명·청 문학사를 비교하며 두 인물의 문학사적 의미를 짚었다.
김병기 교수는 “오래도록 사회적 기억 밖에 머물렀던 두 인물에 대해 과감한 재조명이 필요한 때”라며 “단순한 신분의 희생자나 연애소설의 주인공이 아닌 그들이 남긴 문학적 성취와 삶의 궤적을 정당한 학문적 자산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시대의 천민으로 치부됐던 이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은연중의 차별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와 평가가 시급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날 학술대회에서 천민 신분이라는 낙인이 문학적 가치를 가리는 장벽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촌은과 매창은 모두 조선의 천민으로 태어났고 당시 사회구조에서는 이들의 삶과 표현이 낮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두 사람이 남긴 시와 교유 관계, 삶의 기록을 통해 단순히 주변부의 인물이 아니라,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존재임을 역설했다.
주제 발표에서는 두 사람의 작품과 교유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뤘다. 특히 연정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학자들은 연정시를 조선문학에서 보기 드문 양방(兩方) 교류 문학으로 평가했다.
이재숙 충남대 교수는 매창의 한시가 지닌 미적 특질을 분석하며 “매창은 여성문학 전통을 잇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감정과 욕망을 직접 끌어올린 드문 여성 창작자”라고 평가했다.
임종욱 동국대 교수는 “촌은은 중인 신분으로 양반 문단의 중심부에서 활동한 거의 유일한 인물”이라며 그가 남긴 ‘촌은집’의 사료적 가치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촌은의 교유 범위와 시문 편집 과정은 조선 중기 문인 네트워크의 실체를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두 문인을 기리는 자리이면서 동시에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학계에서는 ‘매창집’과 ‘촌은집’의 정본화, 번역, 부안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 사업 추진 등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이번 학술대회는 강릉유씨 촌은선생기념사업회의 후원으로 이뤄진 만큼 문학사적 균형을 바로잡고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는 첫걸음이 되었으면 한다”며 “학술대회를 비롯해 매창과 촌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작품을 알릴 수 있도록 전북도와 부안군 등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