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드론축구월드컵 총체적 부실”

김세혁·김성규 시의원, 참가 규모 부풀리기 등 지적

김세혁 전주시의원

올해 처음 열린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이 참가 규모 부풀리기부터 국가대표 자격 검증 부재, 공인구 특허 독점 구조까지 드러나며 총체적 부실 논란이 커지고 있다.

김세혁·김성규 전주시의원은 25일 전주시 경제산업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전주드론축구월드컵 전반이 허술했다”며 전주시 책임론을 제기했다.

김세혁 의원은 “전주시가 32개국, 2700명 참가를 내세웠지만 실제 참가자는 33개국 1600명 수준이었다”며 “국내 참가자가 758명, 한·중·일 3개국이 109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1~2명만 참가한 시범팀까지 참가국에 포함한 정황도 있다.

이어 그는 “1100명 가까운 차이를 알고도 홍보를 강행한 것은 행정 신뢰를 스스로 무너뜨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식 선발전도 치르지 않은 국가대표전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김 의원은 “호주는 회원 가입 두 달 만에 본선에 올랐다”며 “국가대표 여부도 확인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가대표전이란 표현을 한 것 자체가 행사의 공신력을 떨어뜨린다”고 질타했다.

김성규 의원은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의 행사비 구조, 공인구 특허 독점을 문제 삼았다. 특히 그는 드론축구 공인구 특허를 캠틱종합기술원이 단독 보유한 점을 구조적 문제로 지목했다.

김 의원은 “공공재원이 투입된 공인구 개발의 특허를 캠틱종합기술원이 단독 소유하고 있고, 공인구 수익도 모두 민간 기관으로 귀속되고 있다”며 “전주시는 비용과 위험만 부담하고 민간이 이익을 챙기는 기형적 구조가 굳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두 의원은 “드론축구 종주도시라는 이유만으로 예산과 인력 투입을 반복할 수 없다”며 “앞으로는 절차, 기준을 우선하는 국제행사 운영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