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무산된 완주·전주 통합, 향후 과제는?

민선 8기(2022.7.1.-2026. 6.30.) 기간 중에 이루려고 했던 완주·전주 통합이 사실상 무산됐다. 통합을 위한 주민투표를 최종 결정하는 행정안전부 장관이 통합을 위한 주민투표에 대한 입장 발표를 미루는 사이, 민선 8기 전북도·전주시가 목표로 한 2026년 6월 통합시장 선출이 물리적인 시간 부족으로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아직 공식 발표는 없지만 2025년 연내에 실시되야 했던 주민투표 일정이 사실상 불가능해 결국 민선 8기에 이루고자 했던 완주·전주 통합 논의는 실현 불가능해졌다. 그리고 11월 25일 완주·전주 통합 관련 자치단체장 중 처음으로 우범기 전주시장이 민선 8기에선 완주·전주 통합이 어렵고 2030년 통합시 출범 개념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결국 민선 9기 완주·전주 통합 재추진으로 상황은 넘어갔다. 그런데 전주시장은 향후 재추진 문제에 대해 전주가 살기 위해 완주가 됐든 김제가 됐든 익산이 됐든, 전주는 반드시 외연을 확장해야 한다라는 입장만을 표명하였다. 그런데 이같은 인식이 문제인 것은 아쉬운 전주의 입장만을 표명한 것이지 통합의 상대편인 완주의 입장을 포괄한 더 큰 가치와 의미 그리고 내용은 담지 못한 채 추진했던 현재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완주·전주 통합의 실패 책임을 보여준다. 아울러 통합 주민투표를 자신했던 김관영 전북도지사도 별다른 입장 없이 다음 달 중순 ‘완주살이’를 마무리할 예정으로 결국 자치단체장의 의지와는 별개로 민선 8기 완주·전주 통합은 상처만 남긴 채 중단 수순을 밟을 전망이다.

결국 완주·전주 통합은 이해 관계가 서로 다른 자치단체장의 의지만으로는 이루기 어려운 과제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통합의 명분과 논리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해당 주민들의 이해와 협력이 최대한 일치하도록 준비하고 공감대를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명분적으로는 1935년 일제가 지방 분열을 목적으로 실시한 읍군분리를 회복하여 하나의 중심지역을 다시 찾는 역사 바로세우기가 정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주는 땅이 필요하다는 논리라면 완주는 무엇이 필요한지를 찾아 이를 제시해야 한다. 이같은 노력을 통해 다음번 완주·전주 통합이 실현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