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민선 9기 들어 정비사업 정체 해소를 핵심 과제로 삼으면서, 지난해와 달리 여러 구역에서 실질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다수 구역이 ‘준비 단계’에 머물렀던 지난 해와 비교하면, 올해는 이주·철거·관리처분·사업시행인가 등 주요 절차가 눈에 띄게 진전하고 있다. 도시정비의 흐름이 전환점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7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전주시 재개발·재건축 25개 정비구역 가운데 13곳이 시행 중, 12곳이 미시행 상태다. 이는 지난해보다 시행구역이 늘어난 모습이다. 재개발 11곳 중 9곳, 재건축 14곳 중 9곳이 실제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절반 이상이 멈춰 있다’는 기존 인식과는 다른 양상이 드러난다. 준공 구역도 8곳으로 확대됐다.
특히 개별 사업지의 추진 속도 변화가 두드러진다. 감나무골은 지난해까지 이주·철거 지연으로 정체됐지만 올해 공정률 54%를 기록하며 본격적인 공사 국면에 들어섰다. 기자촌도 5.08% 공정률을 보이며 착공 이후 초기 공정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동양아파트는 단독주택지 철거가 진행되며 사실상 사업 착수 단계에 진입했다. 하가지구는 올 5월 관리처분인가를 마치며 이주·철거 준비에 돌입했다. 2024년까지만 해도 ‘사업시행인가 준비 중’에 머물렀던 전라중교·병무청 일원 역시 올해 인가 절차가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재건축 구역도 변화가 뚜렷하다. 효자주공·오성대우·삼천주공3단지는 2024년까지 관리처분 또는 사업시행 단계에서 크게 움직이지 못했으나, 올해 하반기 이주·철거 일정이 확정되며 본격적인 사업 전환이 예고됐다. 세경아파트는 관리처분계획 수립에 들어가 사업 추진 구조가 정비됐다. 개나리아파트, 송천무지개, 송천롯데(1·2차) 등 신규 구역도 추진위 승인·정비계획 입안 단계로 진입해 동부권과 송천권을 중심으로 신규 정비축이 형성되는 모습이다.
행정절차 이행 속도도 크게 달라졌다. 전주시는 올해 정비구역 지정 1건·변경 2건, 조합설립 및 변경인가 6건,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 4건, 관리처분계획인가 2건, 감리자 지정 1건, 경미한 수리 16건 등 총 38건의 인허가 절차를 이행했다. 이는 지난해 상당수 구역이 ‘입안 검토’ 또는 ‘구역지정 추진 중’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하면 행정 속도가 확연히 빨라진 것이다.
제도 정비와 현장 행정도 병행됐다. 시는 2월 ‘2030 전주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타당성 검토에 착수하고, 3월 하가지구를 대상으로 재개발·재건축 통합심의위원회를 열어 절차 간소화에 나섰다. 8개 구역을 대상으로 한 ‘조합 현장방문의 날’, 세경아파트 대상 실태점검, 조합장 간담회 등 현장 중심 점검도 작년 대비 크게 확대됐다. 이는 장기 표류 구역의 병목을 해소하겠다는 행정의 의지를 반영한 조치로 평가된다.
정비구역 확장도 올해 특징이다. 서원초교·백동로는 정비구역 지정 및 입안제안 절차에 들어갔고, 인후궁전·우신·광진 목화 등 신규 정비예정구역도 추가되며 향후 사업 대기 수요가 커지고 있다.
전주시는 올해를 정비사업 신뢰 회복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목표다.
전주시 재개발 재건축 과 정은영 과장은 “사업별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면서 조합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현장 중심 행정을 강화해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겠다”고 했다.
이종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