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점서 책 골라보는 마음의 여유 아쉬워
지난해 12월, (재)한국출판연구소는 국립중앙도서관 의뢰로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과 초중고 학생 30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국민독서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성인은 1년에 12권의 책을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에 한 권 꼴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결과를 보면, 책을 선택하는 주요 요인으로 성인의 경우는 ‘서점에서 직접 책을 보고 선택한다’가 가장 높았지만, 청소년의 경우는 ‘친구의 추천’이 가장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거의 하루 온 종일을 학교와 학원에서 보낸다. 특히 고교생의 경우는 새벽 별을 보고 나가서 해가 진 뒤에나 지친 몸을 이끌고 집에 돌아오는 상황이다. 형편이 이러한데 동네서점에 들러 한가롭게 책을 살펴 볼 여유가 좀처럼 주어지지 않는다. 어쩌다 자투리 시간이 생기더라도 그 동안 참아 온 컴퓨터나 영화에 관심이 먼저 가지 서점으로 발길을 향하기는 힘들다. 그나마 없는 시간을 쪼개 책을 읽으려 해도 친구나 주변의 소개에 의존해 고르게 되고 이는 자칫 독서의 편식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흔히 ‘독서는 마음의 양식’이라고 말한다. 정신을 살찌우는 책을 선택하는데 있어 우리 청소년들이 동네서점에서 직접 책을 보고 고르며 문학·인문학·사회학·경제학·철학 등 참으로 무궁무진한 ‘마음의 양식’을 골고루 음미할 수 있도록, 이들에게 조금만 더 여유를 주었으면 하는 소박한 희망을 품어본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