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장미영의 아름다운 우리말] '블로그' 대신 '누리사랑방' 이라 하세요

Web log)'는 미국의 존 바거(jorn barger)가 로보트 위즈덤(Robot Wisdom·www.robotwisdom.com)에서 웹로그(weblog)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하면서 시작된 용어로, Web(웹)의 'b'와 '항해 일지'나 '여행 일기'를 뜻하는 Log(로그·기록)를 합쳐서 만든 말이다.

 

세계적으로는 1997년 데이브 와이너(Dave Winer)가 쓴 스크립팅 뉴스(Scripting News·www.scripting.com)가 최초 블로그로 인정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12월 블로그 사용자들의 모임인 '웹로그인코리아(www.wik.ne.kr)'가 한국 블로그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에서는 1994년 미국의 저스틴 홀(Justin Hall)이 시작한 온라인 일기가 가장 초기 블로그라는 주장도 있다.

 

▲ 누리사랑방의 힘

 

누리사랑방은 웹에다 일기를 쓰듯 자신이 품어왔던 생각이나 주장 등을 적어놓은 글모음이다. 이러한 글들을 다른 사람도 읽을 수 있게 열어 놓으면서 누리사랑방은 개인적이면서도 '1인 미디어'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처음에 나왔던 누리사랑방에는 단순히 텍스트인 글을 올리고 읽는 기능만 있었다. 그런데 점점 사진, 음악, 플래시, 동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발전하였다. 누리사랑방은 댓글(Reply)과 트랙백(Trackback·다른 블로그에 자신의 글을 보내거나 반대로 다른 블로그의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보내는 기능)을 달 수 있게 됨으로써 독자들과의 의사소통이 확장되었다. 일부 인기 있는 누리사랑방들은 구글, 애드센스 등의 광고를 삽입하여 수익을 올리기도 한다. 역으로 기업에서는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누리사랑방을 운영하여 소비자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이렇게 쓰세요.

 

사진과 누리사랑방의 행복한 만남.

 

30대 주부가 운영하는 누리사랑방이 폭발적 인기를 얻고 있다.

 

다문화가족들이 저비용 고효율의 전략적 누리사랑방을 만들었다.

 

/ 장미영(전주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

정치일반김도영 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위촉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