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장미영의 아름다운 우리말] '이모티콘' 대신 '그림말' 이라 하세요

▲ 그림말

 

'그림말'은 '이모티콘'을 다듬은 우리말이다. 이모티콘(emoticon)은 문자를 이용하여 만들어낸, 감정을 표시하는 기호들을 일컫는다.

 

'이모티콘(emoticon)'은 영어의 감정을 뜻하는 'emotion'과 기호 또는 부호 따위를 뜻하는 'icon(아이콘)'이 합쳐져 만들어진 합성어다. 즉, 'emoticon = emoti + con'은 앞말인 '이모션(emotion)'의 앞부분 'emoti'와 뒷말인 '아이콘(icon)'의 뒷부분 'con'을 합쳐서 새로이 만들어 낸 말이다.

 

▲ 표정 짓는 온라인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의 스콧 팔맨 교수는 1982년 9월 한 게시판에서 온라인 유머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던 중 '농담 기호로 ':-)' 표시를 제안합니다'란 글을 남겼다. 세계 최초로 온라인에 표정을 넣은 이모티콘 '스마일리(smiley)'가 탄생한 순간이었다. 최초로 사용된 그림말 ':-)'은 미소 짓는 모습이었기 때문에 스마일리라고 불렸다. 그림말은 응용이 쉬워 ':-)' 이후 순식간에 ';-)(윙크)', ':-(무표정)', ':-p(혀 내밀기)'와 같은 다양한 표정이 만들어졌고, 팔맨 교수가 사용한 이모티콘과 그 응용작은 온라인에서 간단한 감정 표현방법을 찾던 사람들에 의해 전 세계로 퍼졌다.

 

▲ 얼굴을 대변하는 그림말

 

컴퓨터로 글을 쓰는 곳이면 그림말이 널리 쓰이고 있다. 문자를 보낼 때나 블로그에 댓글을 달 때도 그림말이 없으면 어색한 기분이 들 정도로 그림말은 필수문자가 되었다. 대다수가 '*^^*(미소)', '^^(눈 웃음)', 'ㅠ_ㅠ(눈물)', 'ㅡ.ㅡ;(황당)', '-_-*(부끄러움)', '^_^;(겸연쩍음)', '*_*(놀람)' 등은 쉽게 읽어내고 간단히 사용하고 있다.

 

▲ 이렇게 쓰세요

 

제조업체들이 그림말을 전화기에 상용구로 넣기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그림말을 감정 표현과 재미를 위해서 사용한다.

 

동양의 그림말은 눈의 모양으로, 서양의 그림말은 입의 모양으로 감정을 표현한다.

 

/ 장미영 (전주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