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표 경쟁력
'상표 경쟁력'은 '브랜드 파워'를 다듬은 우리말이다. '브랜드 파워(brand power)'는 '기업체의 상표가 가지는 힘'을 뜻하는 외래어다.
'브랜드 파워'는 달리 '브랜드력(brand力)'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브랜드력'이라고 하면 영어와 한자어가 합쳐져 뭘 뜻하는 말인지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브랜드 파워'는 앞으로 더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말이다. 이러한 외래어를 하루 빨리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쓰는 것이 국가 경쟁력을 키우는 일이기도 하다.
▲ 특정 상표에 대한 선호
물건을 구입할 때는 품질과 가격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정석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특정 상표에 의지해서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더 많다.
때론 특정 상표가 무작정 선호되기도 한다. 이를 가리켜 '브랜드 파워가 강하다/높다.' 또는 '브랜드 파워를 가지다.', '브랜드 파워가 있다.'라고 한다.
▲ 이윤 창출
많은 회사들이 자사 제품의 상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품질 향상과 광고에 힘을 쏟는다. 소비자들은 최고의 자동차, 최고의 카메라, 최고의 운동복, 최고의 화장품, 최고의 핸드백, 최고의 빵 등 최고라고 널리 알려진 상품을 선호한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세계 유수의 대기업들은 대개 '상표'만으로도 엄청난 이윤을 내고 있다.
브랜드 파워는 회사나 기업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대통령 직속기구의 '국가브랜드위원회'도 우리나라의 브랜드 파워를 키우기 위한 노력이다. 이렇게 국가뿐만 아니라 도, 시, 군 등 행정 단위도 상표경쟁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과거에는 '미원'이 조미료의 대명사였고, '정종'이 일본 청주를 대표했다. '제록스'는 복사기그 자체로 이해되었고, '진로'는 소주의 대명사였다. 이와 같이 'OO 하면 OO'라는 대명사 상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상표경쟁력이 높은 개인, 기업, 도시가 많이 생겨나야 한다.
▲ 이렇게 쓰세요
지역의 상표경쟁력을 키우려면 도민들의 애정이 필요하다.
아파트가 다양하다 해도 상표경쟁력은 무시 못 한다.
국제적인 상표경쟁력 시대가 도래 했다.
/ 장미영(전주대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