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11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열린광장
외부기고

국내 최장수 축제 남원 춘향제, 100주년을 향해 담대한 걸음 내딛는다

image
최경식 남원시장/전북일보 DB

춘향의 본산지인 남원은 매년 5월 5일 전후로 ‘이도령과 춘향이 처음 만난 날’로 회귀하며, ‘춘향’의 도시로 재탄생된다.

그도 그럴 것이 ‘춘향’은 남원에서 판소리 <춘향가(春香歌)>의 여자 주인공으로만 인식되지 않는 데다 이도령과 춘향이 처음 만난 광한루, 이별의 눈물을 뿌린 오리정, 춘향이 버선을 벗어 던지며 울었다는 버선밭 등 소설 '춘향전'을 이루는 공간이 현실 세계에서도 뚜렷이 그 모습을 간직한 채 매년 춘향제를 통해 부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춘향제가 올해 95회를 맞이하며, ‘소리’를 키워드로 ‘한국의 소리’부터 ‘세계의 소리’까지 다양한 색채의 소리를 입혀 이달 30일부터 5월 6일까지 광한루원 일원, 요천변 등지에서 펼쳐진다.

지난해 117만명 방문, 백종원 미식 효과 등을 통해 792억원의 경제효과 유발 등 전국적으로 반향을 일으킨 만큼 올해는 200만명 방문을 목표로 공간적 범위 대폭 확대했다. 특히 100회 춘향제 준비를 위해 100가지 프로그램까지 기획하는 등 지난해보다 두 배 늘어난 153개 프로그램으로 풍성하게 펼쳐질 예정이다. 그야말로 ‘확장성 무한’이다.

우리 시에서 이렇게 춘향제를 해마다 진화시키는 것은 사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춘향제가 대한민국에서 현존하는 최장수 축제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지난 1931년 춘향을 기리는 제향이 시작된 이래 일제강점기, 6·25전쟁, 민주화 시기 등 역사적 격변기 속에서 한해도 거르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온 남원 문화의 중심에 있는 무형유산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춘향제는 남원시민 주도형 축제로서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시대와 함께 성장하며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살아있는 전통축제로 우리 곁에서 살아 숨 쉬어야 한다.

그런 까닭에 우리 시에서는 이러한 춘향제의 가치를 국내‧외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2030년 ‘100회 남원 춘향제’를 위한 담대한 발걸음을 단계적으로 내딛고 있다.

일례로 100주년을 향해 나아가는 분기점을 고려해 민선 8기 출범 이후 제93회 춘향제부터 ‘빛’, ‘컬러’. ‘소리’까지 매해 ‘각기 다른’ 주제로 축제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지난해부터는 국내를 넘어 글로벌 축제로 진화시켰다.

그 뿐인가.

현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강릉단오제와 영광법성포단오제의 역사성과 축제의 가치, 의미와 견줘봐도 빠지지 않는 ‘남원 춘향제 유네스코 모범사례’ 등재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우리 시는 춘향제의 무형유산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있다. 우리의 삶과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춘향제의 100여 년 자료를 집대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특성화 콘텐츠 개발과 무형유산 전승 네트워크를 조성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밖에도 ‘춘향’의 가치 재정립과 ‘춘향다움의 지속성’을 자산화하기 위해 ‘역대(당대)춘향’들을 ‘앰버서더’화 시키는 부분도 추진 중이다.

그렇게 100년을 향해 나아가는 춘향제 모멘텀으로서 춘향다움과 춘향제에서 비롯된 다양한 징표들을 ‘K-컬쳐 자산’으로 다변화시키고 있는 만큼 올 춘향제가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하다면, ‘춘향의 소리로 세상을 여는 제95회 남원춘향제’ 방문을 추천한다.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져 온 남원 춘향제를 미래 유산으로 생동(生動)하게 하고, 더 변화‧발전시킬 다양한 국적, 다양한 세대라면 누구든지 말이다.

축제는 모두가 주인공이니까.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경식 #남원시 #제95회춘향제 #춘향가 #광한루 #광한루원 #오리정 #춘향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