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우리 땅에 새겨있는 역사의 흔적] 개혁의 꿈이 서린 부안 우반동

변산의 동남쪽에 있는 우반동(愚磻洞)은 산으로 빙 둘러싸여 있으며, 가운데 평평한 들판이 있다. 소나무와 회나무가 온 산에 가득하고 봄마다 복사꽃이 시내를 따라 만발한다.

1656년에 유형원이 편찬한 『동국여지지』에 서술되어 있는 우반동에 대한 묘사이다. 우반동은 오늘날 부안군 보안면의 서남쪽에 있는 우신리와 우동리의 옛 이름이다. 이 지리지는 유형원(1622~1673)이 한양에서 우반동으로 거주지를 옮겨 새로운 삶을 시작한 직후에 썼다. 따라서 이 글은 유형원 당시의 우반동에 대한 생생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풍광이 수려했던 우반동

이 기록보다 몇 십 년 전에 이곳을 묘사한 기록도 있다. 1608년 교산 허균(1569~1618)이 이곳에 있었던 정사암에 머물며 썼던 「중수정사암기」이다. 

포구에 있는 꼬불꼬불한 작은 길을 따라 우반동으로 들어가자 시냇물이 옥구슬 부딪치는 소리를 내며 졸졸 흘러 우거진 덤불 속으로 쏟아진다. 시내를 따라 채 몇 리도 가지 않아서 곧 산으로 막혔던 시야가 툭 트이면서 넓은 들판이 펼쳐졌다. 좌우로 깎아지른 듯한 봉우리들이 마치 봉황과 난새가 날아오른 듯 치솟아 있는데 그 수를 헤아릴 수가 없다. 동쪽 등성이에는 소나무와 회나무들이 울창하여 하늘을 가리었다.

image
선계폭포.  /부안문화원 제공

우반동은 이렇게 경치가 빼어나 비경으로 꼽히는 우반십경이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선계의 맑은 폭포, ‘선계청폭’이다. 선계폭포 위쪽에는 변산의 4대사찰이었던 선계사와 허균이 묵었던 정사암이 위치해 있었다. 폭포 위의 암반에 커다란 말발굽이 새겨있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가 야인시절 이곳에서 무술을 연마하면서 말을 달려 뛰어내릴 때 생긴 자국이다. 뛰어내리면서 칼로 암반을 내리쳐 이곳의 절벽과 폭포가 만들어졌다. 그래서 폭포의 이름을 성계폭포라 했는데 임금의 이름을 그대로 부를 수 없어 선계폭포라 했다한다. 재미있는 전설이다. 

 

△변산도적 녹림당

선계폭포 맞은편 산에는 바위굴이 자리해 있다. 조선시대 유명했던 변산도적의 소굴 중 하나로 추정되는 곳이다. 변산도적은 연암 박지원(1737~1805)이 지은 소설 『허생전』의 무대이기도 하다. 한양 남산골에 살고 있던 가난한 선비 허생이 장안의 부자 변 씨에게 돈을 빌려 과일과 말총을 독점한 장사로 엄청난 이문을 얻었다. 그는 이렇게 번 돈을 변산의 도적들에게 주면서 무인도로 들어가 농사를 지으며 살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 소설의 줄거리이다.  

이 소설의 기본구조는 허균이 쓴 『홍길동전』과 흡사하다. 홍길동의 의적행위가 『허생전』에서는 체제순응적인 장사로 치환되었다. 소설의 마무리도 비슷하다. 홍길동이 의적들을 데리고 율도국으로 떠난다는 마지막 설정은 허생이 도둑들에게 소를 사주고 처자와 함께 무인도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 수 있도록 했다는 결말과 거의 같다. 가혹한 세상에서 목숨을 버릴 수 없어 도둑이 된 사람들이 살길이 만들어지면 선량한 백성이 된다는 일치된 결말이다. 

image
우반동 바위굴. / 필자 제공

변산도적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영조 때 처음 나타난다. 이인좌의 난이 일어났던 영조 4년(1728), 반란에 동조해 태인에서 거병했던 태인현감 박필현을 문초하는 과정에서 명화적을 끌어들이려했다는 진술이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명화적은 당시 변산지역에서 활동하던 도적의 무리로 녹림당이라고도 불렀다. 녹림당은 본래 전한의 마지막 황제를 독살하고 집권했던 왕망에 반대해 녹림산을 근거지로 하여 대항했던 집단의 이름이다. 이후 녹림당은 반란집단의 대명사가 되었다. 이러한 녹림당이라는 이름을 변산도적들이 내세웠다는 것은 이들이 단순한 도둑집단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실학의 효시 『반계수록』

조선사회는 중기 이후로 사회제도의 모순이 심화되고 있었다. 신분제의 모순으로 반상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토지의 과점현상이 점점 심해지고 있었다. 부자는 끝없이 땅을 확대하고, 가난한 사람들은 송곳 하나 꽂을 땅도 없게 되었다. 급기야는 땅을 잃은 사람들이 유리걸식하다가 도둑의 무리로 전락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사회제도의 모순을 직시한 사람이 있었다. 반계 유형원이다. 그는 한양에서 살다가 서른두 살 때인 1653년(효종 4)에 우반동에 내려와 정착했다. 이곳에는 그의 조부가 개간해 조성한 농장이 있었다. 풍광이 수려한 아름다운 변산에 아이러니하게도 도적이 존재하고 있었다. 태평성대가 아니었다. 유형원은 그 원인을 사회제도의 모순에서 찾았다. 

image
『반계수록』을 저술한 반계서당.  /필자 제공

그 중에서도 토지문제가 제일 심각했다. 토지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었다. 토지문제를 개혁하지 않고는 양민이 유리걸식하다가 도적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유형원은 이에 대한 처방으로 경자유전의 원칙에 따라 균전제(均田制)를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이러한 토지제도의 개혁에서부터 국가의 통치제도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우반동에 칩거하며 22년 동안 저술했다. 실학의 효시로 평가받는 『반계수록(磻溪隨錄)』이다. 이 저서에서 반계가 주장했던 이론들은 일종의 국부론이다. 균전제로 얻은 부와 사회 안정을 기반으로 국방을 튼튼히 하면서 사회제도의 변혁을 이루고자했다. 

반계의 이러한 주장과 사상은 조선시대 실행되지 못했다. 하지만 반계의 개혁의지와 사상은 이익과 안정복, 정상기를 비롯한 지식인들의 호응을 받았다. 1769년(영조 45)에는 영조의 명으로『반계수록』이 간행되었다. 유형원이 문을 연 실학이라는 학문이 조정에서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은 것이다. 그 이후 실학은 다산 정약용(1762~1836)에 이르러 집대성되게 된다. 

 

△스토리텔링이 풍부한 우반동

우반동 들녘 한가운데 길쭉한 선돌이 서있다. 이 선돌 옆에는 배메산 돌방무덤이란 안내판이 서있다. 그런데 혹 이 선돌은 유형원이 자주국방을 꿈꾸며 말을 달릴 때 목표로 삼고 달렸던 돌이 아닐는지. 유형원은 어린 나이에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겪었다. 이때 전쟁의 참화를 두 눈으로 똑똑히 목격하며 외침에 대비해 튼튼한 국방력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그래서 우반들녘에서 말을 달리며 스스로를 단련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반계의 실천적 면목을 엿볼 수 있다.

image
우반들녘 한가운데 서있는 선돌.  /필자 제공

달봉대산 중턱에 복원된 반계서원은 유형원이 『반계수록』을 집필하던 곳이다. 이곳에 올라 앞을 보면 우반들녘이 한눈에 들어온다. 반계의 개혁론이 실현되었더라면 우리에게 어떤 세상이 와 있을까하고 서당마루에 걸터앉아 생각하다가 건너편 우동마을에 눈길이 머문다.

우동마을은 부안 김씨의 집성촌이다. 유형원의 조부 유성민이 1636년에 우반의 동쪽들녘을 김홍원에게 매각했다. 그 이후 우동리는 부안 김씨의 세거지가 되었다. 이 마을에는 후손에게 재산을 분배했던 분재기를 비롯한 부안김씨 종중 고문서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정월 대보름날 당산제로 유명한 마을이다. 삼백년 이상 이어오는 이 마을 당산제는 주민화합의 한마당이다. 당산제로 하나가 되는 우동마을 사람들을 보면 유형원이 꿈꾸던 세상이 조금은 실현된 것 같다. 경자유전의 균전제가 실시되지는 못했지만 해방 이후 농지개혁이 시행되어 농민들 대부분은 자신의 농토에서 농사를 짓는다. 변산에 이제 도적은 없다. 

반계 같은 위대한 선각자가 있어 역사는 앞으로 나아간다. 허균이 이곳 정사암에 머물 때 『홍길동전』을 지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변산에 도적이 있어 반계 같은 위대한 사상가가 나올 수 있었다. 이래저래 부안 우반동은 개혁을 꿈꾸던 땅이자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의 산실이다.

손상국 프리랜서 PD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