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23 09:52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람들

'한복의 중심' 황이슬 대표 "오, 한복한 인생!"

"한복을 입으면, '너 왜 그거 입었어?'가 아니라 '너 오늘 한복 입었네.', 이런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한복으로 소통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멤버 지민이 지난 2018년에 열린 멜론뮤직어워드(MMA) 무대에서 한복을 입고 나와 화제가 됐다. 한복을 입고도 격렬한 춤을 추며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가장 현대적인 퍼포먼스를 보여 줬다. 화제의 중심에는 이 한복을 디자인한 모던 한복 브랜드 ‘리슬’의 황이슬 대표가 있었다. 황이슬 대표가 모던 한복 브랜드 ‘리슬’ 론칭하고 다섯 가지 철학을 세웠다. 디자인, 입는 방법(착장 방법), 세탁 방법, 가격, 구매와 마케팅(구매하는 방식과 보여 주는 방식)이었다. ‘패션은 다양성이 존중되는 것’이라는 배경 아래 다섯 가지를 모두 반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황이슬 대표는 “‘리슬’ 브랜드 론칭 후 맞춤 한복과는 다른 한복을 만들었다. 그때 소비자 반응이 터졌다”며 “리슬은 클릭하면 하루 만에 간다. 운동화 신고 스타벅스 커피 들고 사진을 찍었다. 한복이 단아함이나 전통적 이미지에 고정돼 있어 라이프스타일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추구했다”고 했다. 최근 황 대표는 한복 디자인과 판매뿐만 아니라 만화 ‘궁’ 속 주인공 의상 생활한복 출시부터 업사이클링(친환경) 한복 제작, 한복 3D NFT, 메타버스 작업 등 한복과 현대의 컬래버레이션(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런 색다르고 신선한 아이디어는 모두 황이슬 대표의 아이디어다. 리슬은 황이슬 대표의 ‘그래, 해 보는 거야’ 정신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는 잘 모르지만 해 봐서 실패하면 왜 안 되는지를 알게 된 것이고, 해 봐서 되면 좋은 것이라는 생각으로 지금까지 달려왔다. 이어 황 대표는 “슬로건은 '오, 한복한 인생!'이다. 한복을 입으면 행복해진다는 뜻이다. 한복으로는 선구적인 역할, 영역과 경계를 넓히는 것이 저희 ‘리슬’의 미션이라서 서슴없이 하고 있다”며 “어떤 한복을 평가하고, 잘했다 못했다 등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는 한복이 다양한 패션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포용력 있게 봐줬으면 좋겠다”며 마무리했다. 황이슬 대표는 전주 출신으로 전북대 산림자원학과를 졸업하고 숙명여대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리슬’의 대표이사이자 충남대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겸임조교수다. 지난 2021년 대한민국패션대상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기도 했다.

  • 사람들
  • 박현우
  • 2022.04.18 17:26

서윤근 “전주시설공단 도시공사로 전환해 공공개발 확대”

정의당 서윤근 전주시장 후보가 "각종 공공개발 사업의 이익이 역외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시 산하 시설관리공단을 '전주시 도시공사'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서 후보는 18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각종 공공개발 사업에서 지역업체의 참여를 우선 보장하는 것은 물론 개발 이익의 역외유출이 아닌 지역 재투자로 이어지는 지역 순환경제 발전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부신시가지 도시개발사업에 주력 시공업체로 참여하고 에코시티 도시개발 사업에서는 컨소시엄 시행사를 주도하며 오랜 기간 전주시의 대형 공공개발사업의 개발이익을 누려온 태영건설은 전주시의 공공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개발이익의 상당 부분을 역외유출시킨 대표적 사례"라고도 지적했다. 서 후보는 "천마지구 도시개발사업을 비롯해 대한방직 부지개발 등 전주지역 주요 개발사업 과정에서 민간건설사와 민간 부동산 개발회사가 주도하는 개발이 아닌 전주시와 도시공사의 효율적 협업을 통한 새로운 공공개발 사업 시스템을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 사람들
  • 천경석
  • 2022.04.18 16:42

채영병 전주시의원 “기초의원, 정당 공천제 폐지해야”

채영병 전주시의회 의원이 18일 열린 제39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진정한 정치 개혁을 위해 기초의원 정당공천제 폐지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채 의원은 “우여곡절 끝에 지방자치가 지난 1995년 모습을 갖췄지만, 여전히 완전한 정착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특히 지난 2006년 지방선거부터 도입된 기초의원에 대한 정당 공천제는 지방자치 완성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채 의원은 △지방행정이 정치적 성격이 낮은 점 △기초의원이 국회의원에게 예속되는 ‘정치 예속화’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 간 견제 기능 상실 △후보자들에 대한 시민들의 선택권 제한 등을 그 이유로 꼽았다. 채 의원은 “현재 정당 공천제는 재력을 근거로 국회의원과 친분이 있는 사람들이 의원이 되는 도구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지역을 위해 일한 능력 있는 인재들이 시민들에게 선택받을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채 의원은 지난 2020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생당 소속으로 전주시 마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됐고, 올해 1월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공직선거예비후보자 자격심사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 사람들
  • 천경석
  • 2022.04.18 16:41
사람들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