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수취향
'소수취향'은 '컬트'라는 외래어를 다듬은 우리말이다. '컬트(cult)'는 사전적으로 '소수의 조직화된 신앙 집단'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때 '컬트'는 '소종파(小宗派)'라고도 한다.
문화적으로는 '다수의 사람들이 보기에 낯설고 괴이쩍은 면이 있지만, 소수의 사람들이 열성적으로 찬사를 보내거나 좋아하는 독특한 문화'를 '컬트'라고 한다. 이때 '컬트'는 주로 '몇몇 사람들의 취향에만 부합하는 영화나 드라마'를 일컫는다.
소수에 국한되어 있는 '컬트 문화'는 기존 질서에 대한 부정, 비대중성, 비상업성 등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이런 문화를 즐기는 사람을 가리킬 때는 '-족(族)'을 붙여 '컬트족'이라 한다.
▲ 경작과 숭배
원래 영어 컬트(cult)는 '경작하다, 숭배하다'는 의미를 가졌다. 〈컬트의 여러 가지 양상, 기독교의 경우>를 집필한 이카도 토미지오에 의하면, 고전적인 의미에서의 '컬트'는 문화나 교양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cults(카르타스)'를 어원으로 하고, 제사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과거 농업은 종교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컬트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교회의 교의 속에 수용되지 못하는 개인적인 제사나 종교 활동을 뜻했다고 한다.
컬트가 문화적 장르로 넘어오면서, '컬트 문화'는 소수 집단의 열광적인 숭배를 받는 의미를 가지게 됐다. 그래서 '컬트'라는 말에는 제작방식의 독립성과 작가의 주관, 소재에 대한 개성적인 접근과 표현, 그리고 이를 수용하려는 관객의 존재 등이 모두 포함된다.
▲ 사회 급변기의 현상
컬트(cult)는 대개 사회의 급변기에 생기는 현상이라 한다. 전쟁이나 기아, 혹은 급격한 근대화에 기존의 종교나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더 이상 한 사회의 정신적 구심점이 되지 못할 때, 새로운 정신적 구심점을 찾기 위해 일어나는 현상이 '컬트'라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의 정체성이 흔들릴 때 인간은 자신만의 독특한 성향을 절제 없이 극단적으로 드러내기 쉬운 것이다.
▲ 이렇게 쓰세요
소위 폐인 팬들이 소수취향 문화를 이끌고 있다.
소수취향 뮤지컬은 노래보다 열광적인 현상을 중시한다.
소수취향 와인은 입 안의 즐거움만을 고려한다.
/ 장미영(전주대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