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장미영의 아름다운 우리말] '바우처 제도'보다 '복지상품권제도'가 좋아요

장미영 전주대 교수

△ 복지상품권제도

 

'복지상품권제도'는 '바우처 제도'를 다듬은 우리말이다. '바우처 제도(voucher制度)'란 '주로 하위 계층의 소비자(수요자)에게 정부가 보증하는 증표나 서비스 이용권을 지급하여 어떤 특정한 재화(상품)를 좀 더 싸고 편리하게 소비할 수 있게 하는 제도'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제도는 기본적으로 일반 국민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상품권을 지급하는 제도이므로 '복지상품권제도'로 바꿔 쓸 수 있다.

 

△ 상품권

 

'바우처(voucher)'란 '정부가 지급을 보증하는 증표나 서비스 이용권'을 가리키는 말이다. 간단히 말하면 '바우처(voucher)'는 '전표, 서비스 이용권' 따위를 뜻하는 일종의 상품권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서상품권, 문화상품권 등이 이에 해당된다.

 

△ 사회보장제도

 

'바우처 제도(voucher制度)'는 원래 마케팅에서 특정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고, 고객의 충성도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 중의 하나였다. 이 제도는 소비를 활성화하여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끌어 내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는 사회보장제도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9월부터 일부 지역에서 직업 훈련 대상자에게 '바우처'를 지급하여 교육 기관에서 싼값으로 직업 훈련을 받도록 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 덕분에 훈련생은 자신이 직접 훈련 과정을 선택할 수 있어 직업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있게 되고, 교육 기관은 더 많은 훈련생을 모집하기 위해 경쟁을 하다 보면 교육의 질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07년부터는 중증 장애인들이 간호, 수발 등 필요한 서비스를 골라 받을 수 있는 바우처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밖에도 저소득 계층 자녀의 교육 기회를 넓혀 주기 위해서, 장애인들의 진료 비용을 낮추어 주기 위해서, 새로운 관광지에 수많은 관광객을 이끌어 들이기 위해서 갖가지 바우처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 이렇게 쓰세요

 

여행 복지상품권제도는 국내여행경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에너지 복지 증진을 위한 에너지 복지상품권제도가 필요하다.

 

유명 운동선수들이 스포츠 복지상품권제도 홍보대사를 자청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