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0:1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블루투스'보다 '쌈지무선망'이 좋아요

△ 쌈지 무선망

 

'쌈지 무선망'은 '블루투스'를 다듬은 우리말이다. '블루투스(blue tooth)'는 '컴퓨터와 이동 단말기, 가전제품 등 가까운 거리에 놓여 있는 정보 기기들 간에 반경 10m 정도 안에서 선 없이도 빠른 속도로 실시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 또는 통신망'을 가리키는 외래어다.

 

'블루투스(blue tooth)'는 사무실이든 가정이든 사용자 주변 공간의 근거리 내에서 무선으로 서로 다른 통신장치들을 연결하도록 개발되었다.

 

△ 에릭슨사

 

'블루투스(blue tooth)'는 1994년 스웨덴의 에릭슨(Ericsson)사가 처음 연구한 이후, 1998년 2월, 에릭슨이 주축이 되어 IBM, 인텔, 노키아, 도시바 등이 참여하여 결성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에 의해 본격화되었다. 2001년 12월, 마이크로소프트와 3Com, 루슨트테크놀러지, 모토롤라 등의 참여는 '블루투스'를 전세계적 규격으로 자리 잡게 했다.

 

△ 푸른 이빨

 

'블루투스(blue tooth)'는 영어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푸른 이빨'이란 뜻이다.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에 '블루투스'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10세기경 북유럽에 있는 덴마크의 바이킹, '헤럴드 블루투스(Harald Bluetooth: 910~985)'의 별명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헤럴드 블루투스'는 덴마크어로 '하랄 블로탄(Harald Blatand)', 즉 '검은 피부의 영웅'이라는 뜻이다. 혹자는 이 말이 영어로 번역되면서 '헤럴드 블루투스'가 되었다고 한다.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일한 '하랄 블로탄'은 바이킹들을 평화적으로 규합했는데, 이러한 그의 업적을 기리면서 무선 규격을 통일시키자는 의미로 지은 것이 '블루투스'라 한다.

 

△ 이렇게 쓰세요

 

쌈지무선망 기술을 응용한 휴대 전화, '블루투스폰'이 개발되었다.

 

쌈지무선망 기술은 '무선랜'과도 관련된다.

 

쌈지무선망은 집 안 어디서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무선 전화기'와 유사하다. /전주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