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환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사무국장
새해 벽두부터 전주 완주 통합에 관한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그동안 문제로 지적되어 왔던 상생과 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진 움직임이라면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실상은 일부 정치인들과 행정관료들의 여론몰이 수준이라는 것이 문제다.
반복해서 주장하지만 전주 완주 통합에는 주민들이 진정으로 통합을 원하고 있는가, 통합에 따라 두 지역이 진정으로 더 좋아지고 발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논의와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통합을 위한 당사자 간의 진정성 있는 노력들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 다시 통합에 대한 대의만을 앞세우고 몰아세우기식 통합절차를 추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전주와 완주의 통합문제를 적극적으로 중재하겠다고 나서는 전라북도의 입장도 신중하여야 한다. 지난 2009년, 완주군민 대다수가 형식에 있어서도 일방적이며 내용적으로도 흡수통합에 지나지 않은 지역통합에 반대함으로써 전주-완주 통합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과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을 확인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상황은 당시로부터 단 한 걸음도 나아지지 않았다.
지난해 전북발전연구원이 발표한 통합에 따른 전망도 온통 장밋빛 일색이다. 통합에 따른 부작용과 특히 완주군이 부담스러워하는 문제들에 대한 솔직하고 구체적인 문제의식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도 병행되어야 옳다.
또한 통합 당사자인 전주시의 노력이 구체적으로 가시화 되지 않는 상황에서 중재역을 자임하고 있는 전라북도에 통합에 대한 모든 권한과 역할을 일임하겠다는 것은 마치 신부를 고르고 설득하는 일을 신랑이 직접 하지 않고 부모에게 맡기는 것과 다르지 않다. 지금부터라도 전주시는 진정성을 가지고 완주군의 발전비전을 위한 청사진을 만들고, 이를 기초로 완주군을 설득하는 작업을 먼저 시작해야 한다.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사회를 유지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선택의 기로에서 완주군은 외부로부터의 발전전략 대신 지역 내부로부터 지역활력의 동력을 찾아가고 있다.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경제공동체를 지원하는 커뮤니티비즈니스,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행복해지는 로컬푸드 정책을 통해 지역이 갖고 있는 자원과 기회를 활용한 새로운 미래사회를 준비하려는 내발적인 지역순환경제 시스템을 만들어가려고 하는 것이다.
지난해 말 완주군 13개 읍면의 지역주민들과 공무원, 관련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읍면별 장기발전계획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1년 동안 머리를 맞대고 고민했던 소중한 성과들을 통해 완주군은 소박하지만 지역 스스로가 꿈꾸고 설계한 자신의 미래를 그릴 수 있게 됐다. 진정으로 전주-완주 통합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우선 완주군 읍면장기발전계획을 읽어보길 권한다.
전주 완주 통합은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통합추진방식과 경제적 손익계산에 따라 결정되어서는 곤란하다. 당대의 주민들이 공감할 수 있어야 하고 미래세대가 행복할 수 있을 거라는 확신이 설 때까지 매우 진지하고 섬세한 과정을 거쳐 추진되어야 옳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와 같은 내용도 진정성도 없는 여론몰이 방식의 통합논의는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제 지역의 미래는 지역 주민들 스스로가 결정해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