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새누리당은 더이상 '찬밥'이 아니다

진경애 새누리당 전북도당 대변인

 

'찬밥'의 사전적 의미는 '남들로부터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일종의 왕따다. 그래서 흔히 '찬밥 신세'라고 할 때는 대우 받지 못하는 초라한 처지를 자조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한다. 호남, 아니 전북에서 새누리당의 처지는 갈데 없는 '찬밥' 신세다.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다.

 

명색이 정권을 잡고 국정을 운영하는 집권 여당이지만 적어도 호남에서 새누리당은 속된 말로 지난 40여년동안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있는 듯 없는 듯 존재 가치마저 희미하다. 전북지역 선출직은 국회의원, 도지사, 시장·군수, 지방의원 등 대략 250명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새누리당은 단 세 명에 불과하다.

 

그나마 지역구가 아닌 비례대표 도의원 1명, 시의원 2명이 전부다. 쉽게 말해 도민들의 지지에 힘입어 선출된 공직자는 한 명도 없다는 것이다. 반면 민주통합당은 전북의 정치권력을 장악하고 있다. 국회의원부터 도지사, 시장·군수, 도의원, 시군의원, 그리고 정당 공천이 금지된 교육감까지 민주당 성향의 정치인들이 장악하고 있다.

 

이러한 정치지형은 기형적이다. 아무리 정치 권력이 유권자 지지를 바탕으로 한다고 하지만 특정 정당 주도의 싹쓸이는 납득하기 어렵다. 정치적 성향이나 이념, 철학을 바탕으로 한 지지라기보다는 분풀이식 정치행태에서 비롯된 게 아닌가 싶다. 이같은 그릇된 정치지형이 고착화되기까지 1차적 책임은 새누리당에 있다.

 

거슬러 올라가면 한나라당, 민정당, 민자당에 원죄가 있다. 이들은 정치권력을 장악했을 때 특정지역에 개발을 집중했다. 영남지역에 기반을 둔 까닭에 역대 정권은 인재 등용은 물론 예산지원, 개발사업 등 모든 유무형의 특혜를 영남에 편중했다. 그러는 동안 호남은 소외와 낙후가 심화됐고, 상대적인 박탈감과 앙금은 그만큼 쌓였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끈질긴 구애에 힘입어 도민들의 민심은 바뀌고 있다. 이와 함께 민주당 독점구도에도 급속한 균열이 시작되고 있다. 당장 지난 4.11 총선에서 나타난 표심만 보더라도 민주당에 대한 맹목적인 지지가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 11석 가운데 통합진보당과 무소속에게 2석을 내주었다.

 

게다가 전주 완산을 지역구에서는 새누리당 후보가 36%를 득표하며 민주당 후보의 당선을 위협했다. 다른 지역구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민주당 후보들은 무소속 후보와 힘겨운 박빙의 승부를 벌인 끝에 당선장을 손에 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공천장만 받으면 당선은 의심치 않았던 이전 선거에 비춰볼 때 민심의 상전벽해를 확인한 셈이다.

 

무엇보다 새누리당이 더 이상 전북에서 찬밥은 아니라는 확신이다. 새누리당은 최근 3년여동안 비약적인 상승세를 타고 있다. 2007년 12월, 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대통령 후보는 전북에서 9.04% 지지율을 얻었다. 비록 두자릿수 지지율은 얻지 못했지만 이는 한나라당 후보 자격으로 얻은 역대 최고 지지율이다.

 

지지율은 1년여만에 두 배 이상 확대된다. 정운천 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2010년 6.2 지방선거에 한나라당 전북도지사 후보로 출마, 18%를 얻었다. 이명박 대통령 후보가 얻은 9%를 가볍게 두배 뛰어넘은 것이다. 이어 정운천 전 장관은 19대 총선에서 36%라는 경이적인 지지율을 기록했다.

 

결과적으로 한나라당·새누리당 후보는 4년여만에 9%→18%→36%로 정확히 두 배씩 지지율이 뛰었다. 물론 이같은 지지율 상승이 민심 변화에 비례하는 것은 아님을 안다. 중요한 것은 더이상 민주당에게 전북은 독과점 시장이 아니며, 새누리당도 진정성을 가지고 노력한다면 얼마든지 견고한 지역장벽에 균열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최근 전북을 잇따라 방문, 전북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쏟고 있다. 첫 걸음이 어렵지, 한 번 내딛으면 잦은 걸음이 되는 법이다. 안개비도 맞다보면 흠씬 젖게 된다. 전북에 대한 새누리당의 관심과 애정이 쌓여가다보면 진정이 닿을 때가 올 것으로 믿는다. 그때는 36% 지지율이 어떻게 뛸지 궁금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