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늦은 가을, 모과에게 꾸지람을 듣다

문병학 전북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문병학 전북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어느덧 가을이 깊었다. 대체로 평일에는 직장의 업무처리로 경황이 없고, 주말에는 결혼식이나 이런저런 행사에 참석하느라 분주한 것이 현대인들의 삶이다. 그래서 계절이 바뀐 것도 모르다가 특정의 자연현상과 맞닥뜨린 후에야 계절의 변화를 절감한다. 나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경황없이 살고 있는데, 어쩐 일로 지난 주말 여유가 생겨 자동차를 몰고 집을 나섰다. 도심을 벗어나던 중 신호등에 걸려 차를 멈추었을 때 도로변 여염집 담장 위 봐야 별 볼일 없는 세상을 기웃기웃 넘보던 샛노란 모과와 눈이 딱 마주쳤다.

모과는 사람들을 자주 놀라게 한다. 사월이면, 우둘투둘한 억센 줄기와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 여린 연분홍꽃을 피워 올려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이내 그 꽃잎이 지고, 꽃 진 자리 상처 위에 작은 열매가 맺힌다. 이 작고 푸른 열매는 한여름 폭풍우를 지나면서 울퉁불퉁 아주 못나빠진 모습으로 변하여 사람들을 다시 한 번 놀라게 한다. 과일 망신은 모과가 다 시킨다는 눈총을 받으며 한 여름 뙤약볕과 초가을 태풍을 겪으면서 모과는 제 몸통을 샛노랗게 물들인다. 노랗게 익은 울퉁불퉁 못생긴 모과는 제 몸통에 깃든 격조 높은 향기로 또다시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과연 모과의 향기는 일품이다. 과일가게 망신은 모과가 다 시키고, 생선가게 망신은 꼴뚜기가 다 시킨다는 투의 말은 빈말로라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외양(外樣)만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섣불리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은 자칫 동시대 사람들과 생명에 대한 무례(無禮)로 이어질 수 있다. 겉모습으로 본질까지를 단정지어버리는 현대인들의 편협한 인식을 모과가 꾸짖는 것 같아 씁쓸하다. 현대인들은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고 이를 수용하는 것에 많이 인색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정보통신의 발달로 뉴스나 다양한 정보들이 감당할 수 없을 지경으로 쏟아지는 시대상황에서 표면(表面)과 함께 그 이면(裏面)까지 들여다봐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이 자칫 공염불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상에 사로잡힌 인식의 태도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아니 된다고 생각한다.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려는 의지 없이 외양을 중심에 두고 이루어지는 인식은 당사자는 물론이고,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피폐하게 만들 수 있다. 여기에 자기중심적 사고까지 덧씌워진다면 우리 삶은 돌이키기 어려운 나락으로 곤두박질 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더 늦기 전에 우리는 인식패턴의 전환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본질에 접근하려는 진지한 태도를 바탕으로 ‘차이’와 ‘다름’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인식패턴의 전환이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외양 중심, 개인주의가 덧씌워진 주관적인 판단이 안고 있는 위험성을 심각하게 인식하면서 ‘나’ 이외의 모든 존재가 지닌 의미와 그 존재 안에 내재된 역사를 깊이 있게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지금보다 훨씬 더 윤택해질 수 있을 것이다.

모처럼 나선 가을나들이, 문득 “저게 저절로 붉어질 리는 없다. / 저 안에 태풍 몇 개 / 저 안에 천둥 몇 개 / 저 안에 벼락 몇 개 // 저게 저 혼자 둥글어질 리는 없다. / 저 안에 무서리 내리는 몇 밤 / 저 안에 땡볕 두어 달 / 저 안에 초승달 몇 날”이라는 장석주 시인의 시 ‘대추 한 알’이 떠올라 가만히 읊조리면서 먼 산을 바라본다. 산정(山頂) 위 가을하늘이 창창(蒼蒼)하다.

 

/문병학 전북민족예술인총연합 이사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