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항일운동으로 절명했던 고조부 김영상의 현손이다. 칠보 무성리는 나의 고향이자, 어린 시절 화가의 꿈을 키웠던 곳이다. 무엇보다 애국지사 김영상(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이 의병운동을 하던 삶의 터전이다. 그러나 최근 칠보를 방문하며 돌아본 나의 고향에는 독립운동가에 대한 표식 하나 존재하지 않는다.
소지동은 그의 손자 김균이 무성서원 창의를 기록하며 독립을 역설한 현장이다. 그는 이곳에서 조선의 ‘대동천자문’을 저술하였다. 그리고 우리의 정신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뜻을 실천했다. 그러나 그곳 어디에도, 일하며 배우던 민족 교육의 터전은 남아있지 않다.
삼리로 가 보았다. 서당과 집 앞에 있던 비석거리는 옛 모습 그대로이지만 집은 비어 있다. 우물은 말랐고, 베를 짜던 살림집은 흔적조차 없다. 어느 곳을 둘러보아도 민족 고유의 정신과 얼을 저술하며 실천하려 했던 할아버지의 뜻은 기록되어 있지 않았다. 다만 이 집이 ‘고현 향약’의 출발지였다는 안내 표지판만이 초라하게 서 있었다. 의병운동이나 독립운동 정신은 찾기 어려웠다.
어린 시절 원대한 꿈과 희망을 안고 두 눈을 치켜뜨며 일하면서 배웠던 배움의 현장을 보는 것은 설레는 경험이었지만 이내 마음은 우울했다. 눈물이 앞섰다.
나는 아침에 눈을 뜨면 할아버지의 뒤를 좇아 사당에 가서 조상께 문안 인사를 올렸다. 뭔지 모를 어린 마음에도 조석으로 초상화와 신주 앞에서 조상의 은공을 잊지 않고 자기를 완성시켜 국가와 백성을 위해 살겠다는 다짐을 했다. 가문의 문화적 유전자는 가풍을 통해 면면히 이어지는 법이다.
지금 이 나라는 민족의 혼이 숨 쉬는 현장을 보존하고 정신을 선양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조선은 초상화의 왕국이었다. 국가는 나라를 위해 몸을 던졌던 인물을 극진히 대접했다. 학문에 매진한 학자는 사회의 귀감이 되도록 국가에서 널리 알렸다. 왕은 그 근거로 초상화를 내렸다. 초상화는 단순히 그림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살아있는 정신의 현현물이다.
미국은 국가를 위해 싸웠던 사람들의 삶을 끝까지 책임진다. 이런 국가철학과 사회적 분위기가 미국인들의 애국심을 키우고 국가 번영과 발전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가. 역사의 거울이 없다. 정신문화는 정치적 활용가치나 정파성을 떠나 순수한 국익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인류의 보편성을 추구하고자 했던 선비 정신의 도저함은 지금도 변함없이 평화와 인류애를 추구하게 한다. 역사는 기억과 보존이다. 기억은 기억을 기억하게 한다. 자신이 살아 온 이 땅의 역사를 알고 그 속에서 부절히 이어온 역사의 혼을 자랑스럽게 느끼게 해야 한다. 정신의 무덤 앞에서 정신문화가 승리한 역사를 다시 보게 만들어야 한다. 역사가 증거 했듯 뼛속 깊이 절의가 스며있는 선조들을 기리고 후세의 역군으로 만드는 것은 남아있는 자의 몫이다.
우리민족의 역사와 혼을 보존하고 정신을 선양하기 위해서는, 국립 의병정신 기록관이나 기념관을 세워 대한민국의 오늘이 있게 한 푯대를 세워야 한다. 이름 없이 스러져간 의병들의 기록을 모으는 일부터 시작하자. 기록을 통해 그들을 기억하는 것이 그들의 이름을 되찾아 주는 일이다.
혹독한 일제를 거치며 일본 식민지교육을 거부한 자손들은 힘이 없다. 경제력이 없어 자신 하나 건사하기 힘든 애국지사 후손들은 조상 볼 낯이 없다. 죽음보다 더 무서운 후손들의 한숨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전북이 조선의 혼을 살리는 마중물이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이다.
/김호석 수묵화가·전 전통문화대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