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는 인류가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글로벌 시스템을 한순간에 허물어뜨렸다. 언제나 어디든 갈 수 있었던 국경 없는 세계는 코로나19 이후 꿈같은 이야기가 될지도 모른다. <뉴욕 타임스> 칼럼니스트인 토머스 프리드먼은 세계는 이제 코로나 이전인 BC(Before Corona)와 코로나 이후인 AC(After Corona)로 구분될 것이라고 봤다. 그 정도로 코로나가 우리의 삶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 것이다. 세계는 이제 코로나 이후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전라북도가 코로나 이후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공급망이 단절돼도 살아남을 수 있는 국내 자립적 생산거점 확보와 언택트 라이프스타일 확대를 대비한 5G 인프라구축이 우선돼야 한다. 뉴욕>
첫째, 생필품과 핵심소재 및 부품에 대한 자립적 생산거점을 확보해야 한다. 코로나 이후 각 국가들은 생필품과 의약품, 식량은 물론 전략적 상품의 핵심적 소재와 부품에 대해 수출을 금지하고 국내생산으로의 회귀를 서두르고 있다.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공장들이 문을 닫고 국가 간 이동을 제한하면서 소재와 부품 공급망이 무너지자 글로벌 밸류체인이 붕괴됐다. 우리는 이미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금지로 공급의 불안이 우리의 경제를 어떻게 위축하는지를 경험한 바 있다. 국제적 연대와 협력시스템이 전염병에 의해 너무나 허무하게 무너져 내리는 것을 경험한 국가들은 이제 기업의 아웃소싱을 줄이고 자립적 생산거점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때 전라북도가 국내 기업의 공급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립적 생산이 필요한 소재나 부품 또는 상품을 전라북도가 선점하여 국내 자립적 공급거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언택트 라이프스타일 산업을 선도할 5G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기업들은 재택근무와 유연근무 및 주4일 근무를 시도하고 있고 학생들은 온라인 개학을 통한 원격수업을 경험하고 있다. 이것은 인터넷과 영상회의를 통해 의사결정과 업무추진을 할 수 있는 최고의 인터넷 환경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지만 온라인쇼핑, 원격근무, 게임, 동영상 수요 증가로 인해 전 세계 인터넷 월(月) 데이터 트래픽이 30%이상 증가하고 있다. 급기야 유튜브나 넷플릭스는 트래픽을 낮추기 위해 영상의 화질을 낮춰 서비스하기에 이르렀다. 데이터의 차별을 없애고 많은 트래픽이 필요한 분야의 신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5G 뉴딜프로젝트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 전라북도가 제일 먼저 산골이든 섬이든 전북 어디서나 5G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으로 만드는 5G 뉴딜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한다. 도로나 철도를 개설하는 전통적 인프라 구축에는 늦었어도 서버나 5G 서비스 등의 ICT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서는 선도적인 지역이 되기를 바라본다.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짐 데이터 하와이대 교수는 “한국은 현재 그 어느 때보다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세계 많은 국가가 다양한 영역에서 한국을 롤모델로 지켜보고 있다. 지금의 흔치 않은 기회를 놓치지 마라”고 당부했다. 코로나가 인류의 많은 것을 변화시킬 것이지만 한국이 세계의 새로운 길을 찾는데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이다. 한국이 전세계적으로 부상하는 시기에 전라북도가 그 중심이 되었으면 한다. 이제는 침착하게 코로나 이후의 세계를 준비하고 전라북도가 해야 할 일을 찾아보자.
/김동영 전북학연구센터장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