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의 하늘길이 다시 열렸다. 운항이 중단됐던 군산공항의 민간항공 운항이 10월 8일 부정기편을 시작으로 재개되면서다. 도민들의 항공교통 편의 증진은 물론 군산공항 활성화 등 지역경제의 활력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군산공항의 운항 재개는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올해 2월 대한항공이 운항을 중지한 데 이어 3월에는 도내 항공사인 이스타항공마저 경영난으로 인해 운항을 중단하면서 모든 노선운항이 중단된 지 6개월여 만에 이루어지는 일이다.
군산공항은 종전 1일 3편이 운항했지만, 이번 진에어와 제주항공의 신규취항으로 이들 각 항공사가 오전과 오후, 1일 2편씩 총 4편의 제주노선을 운항하게 된다. 해당 노선은 10월 25일부터는 정기편으로 운항을 계획하고 있다.
이번 군산공항 운항 재개는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서도 군산시와 전라북도 등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지역 정치권과 지역주민들의 단합된 노력과 협력이 주요하게 작용하여 얻어진 결과라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
전라북도와 군산시는 초기부터 운항 항공사들과의 논의를 비롯해 미군의 착륙허가, 국토부의 운항 허가 승인 등에 있어 상호 협력방안을 찾는 한편 신속한 행정절차 추진을 위해 끈질기게 협력한 끝에 증편 운항이라는 큰 결실을 만들어냈다.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번 그 노고와 협력에 감사드린다.
필자도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에게 착륙허가 신청과 관련한 조속한 처리와 절차 간소화를 요청하는 한편, 국토교통부는 물론 전라북도·군산시와 긴밀히 협력하며 군산공항 운항 재개라는 결과를 끌어내는 데에 작게나마 일조할 수 있었다.
지난 5월, 민간항공사가 군산공항 신규취항을 위해 주한미군에 착륙 허가(Landing Permit)를 신청했지만 특별한 안내 없이 절차가 지연된 탓에 운항은 재개되지 못해왔었다. 군산공항은 주한미군의 군산 공군기지가 주둔하고 있어 민간항공의 취항을 위해서는 주한미군의 허가가 꼭 필요했기 때문이다. 주한미군의 전향적인 협조로 운항이 재개된 지금에 와서는 막전 막후가 된 얘기다.
운항 중단 이전 군산공항의 연간 이용객은 2018년 29만여 명에서 2019년 30만 6000여 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었다. 하지만 올해 초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항공 수요 감소와 그에 따른 항공사들의 적자 운영이 군산공항의 전면적인 운항 중단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이에 군산시민과 전북도민은 물론 전라북도를 찾는 방문객들이 불편을 겪었고, 군산공항 근로자를 비롯한 관련 업무에 종사하던 사람들이 고용 위기를 맞기도 했다. 특히 도내 하나뿐인 공항이 운항을 중단하면서 하늘길이 막혔다는 사실은 전라북도 경제와 활력을 우려하는 도민들에게 불안감으로 다가오기도 했다.
따라서 이번 군산공항 운항 재개는 군산시민과 전북도민은 물론 지역을 찾는 방문객들의 이동 편의를 증진하는 한편 지역주민들의 위상과 자긍심을 고취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은 경제 활성화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 모든 돈은 길을 따라 모인다는 옛말처럼 인적·물적 교류가 증대되고 경제가 활력을 찾기 위해서는 편리한 교통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시 열린 전북의 하늘길은 지역의 경제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군산공항 운항 재개를 통해 군산시와 전라북도의 경제가 활력을 되찾기를 기대해본다.
/신영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군산시)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