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종목의 계절이다. 더욱이 올해는 동계 올림픽이 열리는 해이다.
지구촌 겨울 축제 2022 베이징(北京) 동계 올림픽이 내달 4일 막을 올린다. 2018 평창 올림픽, 2020 도쿄 하계 올림픽에 이어 3개 대회 연속 아시아에서 벌어지는 진기록이다. 대륙별 순환 개최를 원칙으로 하는 IOC의 방침을 고려한다면 조금은 특이한 현상이다. 특히 2020 도쿄 하계 올림픽이 1년 늦게 열리는 통에 작년 8월에서야 성화대에 불이 꺼졌는데 불과 6개월여만에 베이징에서 동계 올림픽이 다시 불을 밝힌다.
이번 베이징 동계 올림픽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키 등 15개 종목에 총 109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이전 평창 동계 올림픽때 보다 7개가 더 늘어난 수치다. 90여개 나라에서 약 5천여명의 선수만이 초청장을 받았다. 우리나라는 지난 1948년 생모리츠에서 열린 제5회 대회에 태극기를 앞세워 동계올림픽에 처녀 출전했다. 선수 3명에 임원2명, 총 5명으로 구성된 단출한 소규모 선수단이었다. 이후 15회 대회까지 쭉 메달이 없다가 1992년 열린 16회 프랑스 알베르빌에서 처음 메달의 맛을 봤다. 정식종목에 처음 채택된 쇼트트랙의 선전으로 금메달 2개와 은메달과 동메달을 각각 한 개씩 수확하며 종합 순위 10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한 것이다. 이후 우리 대한민국 선수단은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을 비롯, 최근 평창 동계 올림픽까지 10위권의 꾸준한 성적을 유지했다.
하지만 제24회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비상등이 켜졌다. 얼마전 진천선수촌에 방문 했는데 조금은 충격적인 정보를 들었다. 전라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을 지내다 작년 9월1일자로 대한민국 진천 대표팀 선수촌장이 된 유인탁 촌장이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한국 선수단이 어쩌면 노 골드 성적표를 받을 수 있다”는 푸념 섞인 설명 때문이었다.
유 촌장은 “쇼트트랙이 이번 대회에 유일한 우리 선수단의 금메달 종목인데 한국 출신 지도자들을 각국에서 모조리 영입해 각국 선수들의 실력이 세계적으로 평준화 됐다”면서 “국내 여자 쇼트트랙 선발전에서 1위를 차지한 심석희가 불미스러운 일로 최근 2개월간 선수 자격 정지가 되는 등 전체적으로 상황이 어렵다”는 전망을 내놨다. 얼마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한달여 앞두고 대한체육회도 언론에 현실적으로 노골드 올림픽이 예상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메달 1∼2개가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나마 제일 유력한 금메달 후보의 세부 종목은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다. 이 종목에 우리 전북 출신(전주제일여고 졸) 김아랑(고양시청)이 출전한다. 김아랑은 지난 2014 소치 동계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연이어 이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내 2연패를 달성한바 있다.
지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폐막 직후 김아랑을 비롯해 몇몇 동료들과 함께 유럽 스위스와 노르웨이에 동계 체육시설과 박물관 견학을 위해 동행한 적이 있다. 천사표 미소에 후배와 동료 등 대표 선수들을 잘 챙겨서 국민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김아랑에게 당시 현장에서 선수로서 다음 목표에 대해 물었었다. 김아랑은 “후배들과 함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내 3연패를 이뤄 동계 종목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고 싶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었다.
아직까지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에서 3연패를 이룬 선수는 전무하다. 만약 김아랑이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석권하며 금메달을 목에 건다면 이 기록은 당분간 깨지기 힘든 동계 올림픽 레전드가 될 전망이다. 김아랑의 희망대로 3연패를 기대해 본다. 전북 출신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드물어서 더욱 그렇다.
/정강선 전북도체육회장
* 정강선 회장은 ㈜피앤 대표이사로 뉴시스 국제부 북경특파원 등을 지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