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이 지나고서도 한 동안 꽤나 춥더니만 엊그제부터 진짜 봄인 듯 날씨가 포근해졌다.
요즈음이야 거의 볼 수 없는 풍경이 되고 말았지만 10여 년 전만해도 입춘날이면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즉 “봄이 들어서는 날을 맞아 크게 길상하시고, 온 세상에 양기가 차오르는 봄에 경사스런 일이 많으시기를.”이라는 뜻의 ‘춘련(春聯)’을 써서 대문에 붙이는 습속이 있었다. 이외에도 다양한 내용을 담은 춘련을 써 붙였다.
두 구절이 짝을 이루는 시문을 ‘대구(對句)’라고 하며 이런 대구를 쓴 서예작품을 대련(對聯)이라고 한다. 대련은 건축물의 기둥에 써 건 주련(柱聯=영련楹聯)으로부터 비롯되었으며 주련의 기원은 ‘도부판(桃符板:부적을 그린 복숭아나무 판자)’에 있다. 중국 사람들은 복숭아나무가 귀신을 쫓는다고 믿어 예로부터 출입문 양편에 복숭아나무 판자를 붙여두고 잡귀를 검열하여 출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귀신인 ‘신다(神茶)’와 ‘울루(鬱壘)’의 상을 그리거나 이름을 써서 부적처럼 붙이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이 도부판이다. 후대에는 귀신 형상 대신 길상어(吉祥語:길하고 상서롭기를 축원하는 말)를 붙이게 되었으며, 특히 입춘날에는 춘련을 써 붙였는데 춘련을 달리 ‘춘첩자(春帖字)’라고 부르기도 했다.
중국 5대10국 시절, 후촉의 황제였던 맹창(孟昶)은 어느 해 섣달 그믐날, “신년납여경, 가절호장춘(新年納餘慶, 嘉節號長春)”이라는 춘련을 써 붙였다. “새해에는 넘치고 남는 경사를 맞아들이고, 좋은 절기에 긴긴 봄을 노래 부르게 하소서”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듬해 송 태조 조광윤에 의해 맹창의 후촉은 망하고 조광윤의 부하인 여여경(呂餘慶)이 새로운 통치자로 부임했다. 곧 ‘여경(餘慶)’을 맞아들인 꼴이 되었으니 맹창이 써 붙인 “신년납여경(新年納餘慶)”이란 말이 어처구니없게도 딱 들어맞은 것이다. 뿐만 아니라, 조광윤의 생일을 ‘장춘절(長春節)’이라고 부르며 축제를 벌였으니 “가절호장춘嘉節號長春”이란 구절도 정확히 들어맞았다. 맹창에게는 불행이었지만 써 붙인 춘련의 효험은 100% 증명된 셈이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춘련의 효험을 믿으며 춘련뿐 아니라, 주련도 걸기 시작했고, 방안에도 대련 작품을 제작하여 걸었다. 본인이 쓰면 맹창과 같은 꼴을 당할 수 있다는 생각에 자신의 집에 걸 춘련이나 주련은 대부분 남에게 부탁하여 썼다. 물론 반성과 각오를 다지는 글은 스스로 서예작품으로 써서 걸기도 했지만 복을 비는 춘련은 대부분 남의 글씨로 써 붙인 것이다.
맹창 이후, 송나라 때에는 춘련이나 주련을 거는 습속이 성하였고, 원나라 명나라 때에는 춘련이 세시 풍속으로 정착하였으며, 주련은 하나의 건축양식으로 자리를 잡았다. 청나라 때에는 춘련과 주련뿐 아니라, 서예작품인 대련도 크게 유행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기에 이미 이러한 춘련과 주련 문화가 있었으며, 조선 중기 이후에는 현판(懸板:집의 이름을 써 붙인 판)과 주련이 한옥 건축의 한 양식이 되어 한옥을 지은 다음에는 현판과 주련을 걸어야만 건축이 완성되는 것으로 여겼다.
현대에도 춘련도 써 붙이고, 한옥이면 당연히 현판과 주련을 걸며, 양옥이나 아파트에도 대문 양편에 주련 한 폭쯤 걸고, 집안에 대련 서예 작품 한 점이라도 건다면 우리의 생활이 한층 더 뜻깊고 아름다워 질 것이다.
/김병기 전북대 명예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