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미륵의 나라

image
김화성 전 동아일보 전문기자

서기 660년 백제가 망했다. 의자왕 등 백제인 1만 2807명이 당나라 수도 장안으로 끌려갔다. 관료 기술자 등 수많은 백제인이 하루아침에 경주 신라 지배층의 노예가 됐다. 663년엔 흑치상지가 이끄는 백제부흥군이 무너졌다. 동시에 백제와 왜(3만2000명)의 연합군도 백강전투에서 패배했다. 이때 백제인 20만 명이 대거 일본으로 건너갔다. 

백제 유민들의 크고 작은 저항은 망국 후 100년 가까이 계속됐다. 할아버지-아들-손자 3대(代)에 걸친, 기약 없는 싸움이었다. 딱 거기까지였다. 백제부흥의 꿈은 단발성 반란으로 이루어질 문제가 아니었다. 나라 없는 백성은 상갓집 개와 같다. 백제 유민들은 아무런 희망이 없었다. 

766년 진표율사가 모악산 금산사를 중창하고 미륵부처를 모셨다. 왜 미륵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미륵이 언젠가 오실 ‘메시아’였기 때문이다. 미륵은 석가이후 사바세계에 내려와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래 부처님’이다. 진표율사는 가엾은 백제 망국민들에게 한 줄기 희망을 주고자 했던 것이다. 

그렇다. 모악산은 미륵의 땅이다. 금산사를 빙 둘러싸고 있는 산줄기가 '푸른 연잎'이라면, 금산사는 '붉은 연꽃'이다. 그중에서도 미륵전은 단연 연꽃의 '꽃심'이다. 본존미륵불(11.82m)과 좌우협시불(8.79m)이 금방이라도 내려올 태세로 곧추서 있다. 풍채가 휘뚜루마뚜루 헌걸차다. 미륵부처는 세상에 내려와 3차례 설법을 통해 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끈다. 그 첫 번째 장소가 모악산 금산사, 두 번째가 속리산 법주사, 세 번째가 금강산 발연사(鉢淵寺)다. 모두 진표율사나 그의 제자가 세운 절집이다. 

모악산은 미륵신앙의 요람이다. 그 중심은 단연 금산사 아래 금평저수지(1961년 축조)다. 이전엔 습지와 복숭아밭이었다. 그 주위에 지금도 미륵 관련 신흥종파들이 몰려 있다. 흔히 사람들은 그 방죽을 ‘오리알 터’라고 부른다. 왜 오리알터 인가? '올(來)터'란 뜻이다. 누가 그곳으로 오는가? 바로 미륵이다. 실제 증산교의 창시자 강일순(1871~1909)은 저수지 윗동네 구릿골(동곡리)에서 눈을 감았다. 그는 구릿골에 ‘이 세상 모든 병든 중생을 치유하겠다’며 동곡약방(廣濟局·광제국)을 열었다. 그는 여성과 백정 등 천대받는 모든 생명이 하늘처럼 대접받는 세상을 꿈꿨다.

조선시대 ‘풍운의 혁명아’ 정여립(1546~1589)의 집터도 구릿골에 있다. 그가 벼슬을 마다하고 낙향하여 터를 잡은 곳이다. 그는 “천하는 공물(公物)인데 누구든 섬기면 임금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금구 원평 태인 일대의 선비들과 평등 세상을 꿈꾸며 대동계(大同契)를 조직했다. 양반 상놈 노비 등을 가리지 않고 형제처럼 지냈다. 당시로선 놀라자빠질 일이었다. 정여립은 계원들과 구릿골 뒤 구성산(488m)에서 무예훈련을 했다. 제비산(308.3m) 치마바위 앞에선 천일기도를 올렸다. 그가 타고 다녔다는 ‘용마무덤’도 남아있다. 1589년 정여립은 대역죄로 능지처참을 당했다. 아울러 수많은 호남 선비가 떼죽음을 당해 씨가 말랐다. 

미륵은 언제 오는가? 내 아버지의 아버지들도 타는 목마름으로 기다렸다. 오지 않았다. 내 평생에도 오지 않을 것이다. 내 이후에도 오지 않으리라. 하지만 미륵은 곧 희망이다. 희망이란 본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중국 작가 루쉰의 말마따나, 그것은 마치 땅 위의 길과 같아서, 사람들이 자꾸 가다 보면 그것이 곧 길이 된다. 희망은 사람의 명줄이나 같다. 그걸 놓는 순간 곧 죽음이다. 그렇다. 희망은 간절히 바라면, 언젠가 현실이 된다.  

/김화성 전 동아일보 전문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

정치일반김도영 교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위촉

정치일반올해 100대 기업 여성임원 476명 역대 최다…전체 임원 중 6.5%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