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04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기고
외부기고

도내 청소년 정신건강 위태, 지역사회 관심 필요

image
유성동 좋은교육시민연대 대표

작년 11월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42.3%로 직전 연도보다 5%포인트 증가하였다. 이는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우울감 경험률 또한 27.7%로 직전 연도의 26%보다 증가하였다. 

문제는 우리 지역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상태다. 도내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46.1%로 17개시도 중 1위였고, 우울감 경험률 역시 30.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고등학생의 경우 성적과 진로, 학업, 친구·선후배 관계 순으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학생의 경우엔 학업과 성적 다음으로 외모, 부모와의 갈등 등이 스트레스 형성의 원인이었다.

작년 10월 국회 교육위 소속 강경숙 의원실과 좋은교사운동이 발표한 보도자료 ‘최근 3년간 자해 관련 학교 위기관리위원회 개최 건수’에 따르면 우리 지역은 1,188건으로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서울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두 번째였다.

학교폭력 문제도 심상치 않다. 작년 우리 지역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6%로 전국 평균 2.1%보다 0.5%포인트 높았는데, 이는 대구보다 세 배 가까운 수치로 전국 2위였다.

즉 우리 지역 청소년들은 다른 지역 또래들보다 더 많이 우울하고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학교폭력 위험에 더 크게 노출돼 있다. 

교육청과 학교의 노력이 없는 게 아니다. 학교에선 초1부터 ‘정서행동 특성 검사’를 고1까지 3년 주기로 시행 중이다. 교육청도 긴급위기지원단과 Wee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전문상담교사 임용 규모도 늘려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이 제대로 효과를 내는지 의문이다. ‘정서행동 특성 검사’는 매년 이뤄지는 게 아니며, 정서행동 위기 관심군으로 진단되고도 2차 기관으로 연계되지 않는 학생이 10명 중 2명 정도다. 작년 교육통계 기준으로 우리 지역 초등학교 네 곳 중 세 곳, 중학교 두 곳 중 한 곳엔 전문상담교사가 없다. 

인프라 확대뿐 아니라 기존 정책의 효과성 검증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타지역이나 선진국 사례에 대한 연구 및 검증 후 수용도 이뤄져야 한다. 2년 연속 학교폭력 응답률 0.9%를 달성한 대구교육청은 학기당 15시간 이상의 마음교육 수업이 이뤄지는 ‘마음학기제’를 전국 최초로 도입 선도학교를 운영했고, 올해부턴 초5학년과 중1학년 대상으로 전면 시행 예정이다. 

북미‧유럽‧일본 등 선진국은 심리적 문제를 스스로 이겨내는 회복탄력성, 감정 조절능력, 스트레스 관리 능력 등을 키우는 ‘사회정서 역량 교육’을 교육과정에 포함 운영하고 있다. 

지자체를 포함함 지역의 역할도 중요하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은 지역사회가 아이들의 모든 면에 관심을 갖고 누구도 정신적 고통을 겪지 않도록 돌봐야 한다는 의미다. ‘경계 없는 행복한 학교’를 슬로건으로 서울의 한 지자체가 학생 심리정서 지원을 위해 운영한 ‘달팽이 학교’가 좋은 사례다. 

우리 아이들이 불안과 우울 등 감정적 문제를 슬기롭게 풀어가며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와 교육청, 지역의 촘촘한 관심과 실효적 지원이 시급한 때다.

 

유성동 좋은교육시민연대 대표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청소년 #정신건강 #관심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