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전주시 ‘청년 만원주택’, 청년 정착 마중물 되길

지방소멸 위기의 시대,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분야는 단연 인구정책이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출까지 겹쳐 도시가 활력을 잃고 있다. 특히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층이 대거 빠져나가면서 위기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 전주시도 마찬가지다. 소폭이나마 증가세를 유지하던 전주시 인구는 수년 전 감소세로 돌아선 후 하향 곡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청년인구 감소세는 더 가파르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전주시 청년인구는 2015년에서 2020년까지 3485명이 감소한 데 이어 2020년부터 2024년까지는 1만 776명이나 줄었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청년이 머무르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청년정책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조직개편을 통해 청년정책 컨트롤타워인 청년정책본부를 신설하겠다고도 했다.

전주시가 이 같은 청년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6일 ‘청년 만원주택, 청춘별채’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지역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무주택 미혼 청년(19∼39세)들에게 보증금 50만원, 한 달 임대료 1만원∼3만원에 매입 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올해 우선 82호를 공급하고, 2028년까지 모두 210호로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예산은 총 250억원 가량이 투입된다. 임대주택을 매입, 신축, 리모델링하는 비용이다. 공개모집 절차를 통해 이 주택에 입주하는 청년들은 말 그대로 ‘한끼 밥값’에 월세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대학생과 자립을 준비하는 사회 초년생들이 크게 반기고 있는 만큼 치열한 입주 경쟁이 예상된다.

지역사회 청년 이탈을 막기 위해서는 그들이 지역에서 꿈을 키우고, 그 꿈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한다. 지방소멸 위기의 시대, 청년 지원 정책은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근간이다. 그리고 청년정책의 핵심은 일자리와 주거안정이다. 이런 측면에서 전주시가 내놓은 ‘청년 만원주택’ 사업에 눈길이 쏠린다. 전주시의 살림살이가 더 빠듯해져 여유가 없겠지만 도시의 미래를 위해 우선순위로 추진하고 또 확대해야 한다. 전주시가 올해 청년 지원 정책으로 야심차게 추진하는 ‘청년 만원주택’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에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