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서예인들의 오랜 시간 동안 염원해 왔던 소망이 이뤄져 말로 다 하지 못할 만큼 기쁠 따름입니다.”
한글서예가 지난달 국가 무형유산 공동체 종목으로 신규 지정된 것에 대해 윤점용(67)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집행위원장은 이같이 말했다.
올해로 7년째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의 집행위원장으로 몸담고 있는 그는 이번 신규 지정 소식에 남다른 소회를 전했다.
“오랜 기간 다른 한글 단체와 서예 단체 등 기타 여러 기관에서 도전해 왔던 한글서예의 국가 무형유산 종목 신규 지정이었지만, 다양한 이유로 무산돼 왔었습니다. 하지만 우리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조직위가 팔을 걷어붙인 지 3년이 되는 해에 지정 소식을 접하며, 우리 단체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이뤄낸 쾌거라 생각돼 더욱 값지게 느껴집니다.”
지난 3년 동안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조직위원회는 ‘한글 서예’를 국가 무형유산 종목으로 신규 지정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해왔다.
윤 집행위원장은 “한글 서예의 국가 무형유산 종목 신규 지정에 있어 한글이라는 문자가 이미 세계적으로 위대한 문자임을 인정 받아, 조직위는 한글이 지닌 예술성을 더욱 부각시키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실제 조직위는 훈민정음을 비롯해 세종대왕이 세조가 지은 <석보상절>을 보고 훈민정음으로 지은 악장체의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 등을 한글 서예 작가들이 파트별로 나눠 글씨를 써오며 한글이 지닌 아름다움을 끊임없이 알려왔다.
집행위원장은 “생각보다 빨리 한글 서예가 국가 무형유산 종목에 신규 지정돼, 얼떨떨한 마음도 있지만 이 모든 게 한글 서예를 사랑하는 서예가분들 덕이라 생각한다”며 “많은 뉴스 보도에 우리 단체만의 공으로 이번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읽히지만, 우리 단체가 직접적으로 나서기 전까지 초석을 다져준 여러 단체가 있어 줬기에 기쁜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한글 서예가 국가 무형유산 종목으로 지정되며, 세계서예전북비엔날 조직위원회 역시 기존 운영 방식과는 달리 더욱 발전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게 윤 집행위원장의 설명이다.
윤 집행위원장은 “한글 서예가 국가 무형유산 종목으로 지정되는 순간부터, 국내의 서예가뿐만이 아닌 해외의 서예 작가들까지 우리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를 바라보고 있을 것”이라며 “이번 국가 무형유산 지정 사실을 바탕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도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올해 15회를 맞이하는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행사도 한글 서예가 국가 무형유산 종목 지정된 사실을 기념함과 동시에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을 쌓아가는 장으로 꾸려낼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제15회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는 오는 9월 26일부터 10월 26일까지 전북특별자치도 내에서 펼처질 예정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