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새벽메아리] 자식 덕 보기

김광화(전 간디학교 교사·'피어라 남자' 저자)

 

우리 집 아이들은 둘 다 학교를 안 다닌다. 이렇게 한지 어느 듯 10년째. 딸은 초등학교만 마치더니 성인으로 자랐고, 아들은 콧수염 거뭇거뭇한 청소년이다. 그렇다고 우리 부부가 거창하게 홈스쿨링을 한 것도 아니다. 그냥 아이들이 잘 자라주길 바라는 마음과 아이들 의사를 존중해온 것뿐이다.

 

우리 부부가 강조하는 교육은 아이들 본성을 잘 살리는 데 있다. 잘 놀고, 잘 자고, 잘 먹고 나면 잘 배우고 싶어 한다는 거다. 이는 사람만 그런 게 아니다. 병아리도, 새끼 고양이도 다 그러하다. 잘 배우는 게 자신을 위해서도 좋다는 걸 모든 새끼들은 본능으로 안다. 우리 부부가 이렇게 하는 교육 과정을 <아이들은 자연이다> 라는 책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아이들에게 억지로 공부를 시키려고 하면 자꾸 어긋난다. 아이는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공부가 뭔지를 잃어버리고, 부모는 자꾸 애가 탄다. 자식과 부모 사이는 멀어지고, 자녀성격도 삐뚤어진다.

 

자식을 왜 낳는가? 이렇게 묻는다면 예전에 나는 "우리가 낳기보다 저희들이 부모를 선택한 게 아닐까요?"라고 슬쩍 비켜가듯이 대답을 하곤 했다. 이제는 좀더 솔직하게 답한다. "자식 덕을 보고 싶어서요."

 

그렇다. 자식 덕! 학교를 안 다니며 자유롭게 성장하니, 우리 부부는 자식 덕을 많이 보고 산다. 우선 자식 덕에 잘 먹는다. 부부 둘만 있다면 대충 때우고 넘어갈 밥상도 자식 핑계로 반찬 하나라도 더 하지 않나. 또 아이들은 자랄수록 배우고 싶은 것도 점점 많아지니까, 그 덕에 부모 역시 많은 걸 새로 배운다. 다시 한번 십대 이십대를 산다고 할까. 자식 덕에 호기심도 많이 살아나고, 이렇게 글을 쓰고 책을 낼 수 있는 힘까지 얻었다.

 

이뿐 아니다. 아이들을 가까이서 늘 지켜보니 아이들은 부모에게 도움만 받는 걸 싫어한다. 빨리 독립하여 당당히 자기 인생을 살고 싶어 한다. 부모에게 용돈을 타서 쓰기보다 스스로 벌어보는 게 얼마나 뿌듯한 일인가. 게다가 부모가 가끔 여행을 간다하면 적은 돈이지만 용돈이랍시고 슬쩍 건네주는 '이벤트'를 하기도 한다. 자식 덕을 다 늘어놓자면 책 한 권으로 부족하리라.

 

앞뒤가 이쯤 되면 부러워하는 사람이 많을 테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학교를 그만두는 아이들과 이를 허락하는 부모들이 점차 늘어나는 걸 나는 피부로 느낀다. 다만 학교를 나온다고 다 잘 되는 건 아니다. 마지못해 학교를 뛰쳐나온 경우는 많은 아픔과 시행착오 그리고 자기치유 과정을 겪어야 한다. 그러나 일찍 아이 생각을 존중해서 이를 살려낸 가정들은 '자식 덕 보는 문'으로 어렵지 않게 들어선다.

 

경쟁 교육이 치열할수록 방황하는 아이들도 늘어난다. 지난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초ㆍ중ㆍ고생이 지지난해보다 47%나 늘어났단다. 기가 찰 노릇이다. 적지 않는 부모들이 부모 자신의 기준에 맞추어 자식이 자라길 바란다. 아이는 부모 노예가 아니다. 누구나 한 번 주어진 인생, 자기만의 길을 가고 싶어 한다. 공부보다 아이들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자세가 먼저가 아닐까. 아이들을 주인자리에 놓자. 아이마다 그 고유한 빛깔로 자라게 하자. 그게 아이 좋고 부모 좋은 길이다. 덩달아 사회를 밝고 아름답게 하는 길이기도 하다.

 

/ 김광화(전 간디학교 교사·'피어라 남자' 저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군산서 흉기 들고 거리 돌아다니던 60대 검거

정치일반이틀째 밤샘수색에도 울산화력 실종자 2명 못찾아…수색 계속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노인 임플란트 지원근거 마련

김제김제시 자전거 서포터즈 ‘따르릉 탐험대’ 발대식

임실제10회 임실 아삭아삭 김장페스티벌 SNS에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