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04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새벽메아리
외부기고

[새벽메아리] ‘전북 청년마을’이 성공하려면

image
윤찬영 북카페 기찻길옆골목책방 대표

행정안전부는 올해로 8년째, 서울 밖에 청년이 머물고 싶은 마을, 이른바 '청년마을'을 만드는 사업을 해왔다. “지역 살아보기, 일거리 실험 및 청년 활동공간 구축 등을 청년들이 직접 기획 및 운영하여 지역에 청년들이 모이는 마을”을 조성하겠다는 게 행안부가 내건 목표다. 지난 8년 사이 전국에 50개가 넘는 청년마을이 만들어졌거나 만들어지고 있다.전북에선 2021년 완주 ‘다음타운’을 시작으로 군산 ‘술 익는 마을’, 익산 ‘지구장이마을’ 등이 잇따라 청년마을로 뽑혀 지금까지 잘 운영되고 있다. 올해는 무주 ‘파머스FNS’와 장수 ‘락앤런’ 두 곳이 새롭게 뽑혔다. 이 두 마을은 앞으로 3년간 그 지역만의 고유한 자원을 활용해 청년들이 머물고 싶은 마을을 만들어 가게 된다.

알다시피 우리나라가 심각한 저출생을 겪고 있는 건 서울로 인구, 특히 청년세대가 몰리기 때문이다. 2021년 감사원은 10년 넘게 이어진 정부의 저출생·고령화 대책과 인구 구조 변화 대응 실태를 감사한 결과를 발표하면서 “저출산(생) 문제는 청년층의 사회적 이동, 수도권 집중 현상과 관련이 있”다고 꼬집었다. 그런 점에서 인구가 줄어 활기를 잃어가는 곳에 ‘청년마을’을 만들겠다는 건 의미 있는 시도다.

2022년부터는 전북도도 팔을 걷어붙였다. 이른바 ‘전북 청년마을’을 조성하겠다며, 해마다 5-10개 마을을 뽑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만들어진 마을들이 벌써 25곳으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청년들의 패기와 새로운 발상, 지역민들의 따뜻한 관심 그리고 도와 시ㆍ군 공무원들의 헌신으로 어렵사리 뿌리를 내려가고 있다.

전북 청년마을을 거쳐 이듬해 행안부 청년마을에도 뽑힌 ‘지구장이마을’은 지난해 익산역 앞 원도심 골목에서 로컬 기업인 삼양식품과 함께 ‘청년 불닭 축제’를 벌였다. 이달 중순엔 ‘라면 전문점’을 열어 익산역을 찾는 여행객들을 골목으로 불러들일 계획이다. 지난해 전북 청년마을에 뽑힌 ‘오후협동조합’은 김제 쌀로 만든 빵ㆍ음료를 파는 카페, 다양한 와인을 파는 바틀숍 그리고 프랑스 자수 공방이 힘을 합친 팀이다. 이들은 오래된 이발소와 중국음식점뿐이던 시골길 죽산삼거리를 주말이면 전국에서 사람들이 모여드는 곳으로 바꿔냈고, 이 경험을 살려 또 다른 청년들이 이곳에 터를 잡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 올해 뽑힌 정읍 ‘샘샘’은 버려진 농협 창고를 비롯한 마을의 공간과 자원을 엮어 이 지역만의 매력을 만들어 가고 있는데, 마을을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최근엔 문을 닫으려던 주유소가 마음을 고쳐먹는 일도 생겼다.

내년이면 5년째를 맞는 ‘전북 청년마을’이 앞으로 한 발을 더 내딛으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먼저, ‘좋은 공간’이 필요하다. 새로운 일을 벌이고 사람들을 불러들이려면 이른바 랜드마크가 될 만큼 널찍하고 세련되고 또 이야기가 담긴 매력적인 공간이 절실하다. 다음으로, ‘좋은 어른’이 필요하다. 청년들의 패기와 발상에 중년의 다양한 경험과 자본이 더해진다면 실패 위험을 줄이면서 의미 있는 변화를 더 빠르게 만들어 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좋은 관계’가 필요하다. 청년과 지역 주민, 청년과 행정은 서로 믿어주고 응원해주고 또 기다려주는 사이가 되어야 한다. 좋은 공간과 어른 그리고 관계로 전북 곳곳에 청년들이 머물고 싶고 살기 좋은 마을들이 더 단단히 뿌리 내릴 수 있길 기대한다.

윤찬영 북카페 기찻길옆골목책방 대표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 청년마을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