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갈등의 상징서 생태·사회적 치유공간으로 전환 기대
KDI 예비타당성조사 착수…경제성·정책성 본격 검증 단계
전북도 “환경부·정치권 협력 강화해 최종 통과 이끌 것”
익산 왕궁 자연환경복원사업이 정부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사업으로 선정되면서 내년도 사업 추진의 첫 관문을 넘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달 31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를 통해 익산 왕궁 자연환경복원사업이 예타 대상사업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익산 왕궁 자연환경복원사업은 일제강점기 한센인 강제이주와 축사 확장으로 훼손된 왕궁면 일대를 되살려,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생태복원 모델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대상지는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 일원 182만㎡ 규모로, 내년도 예타를 시작으로 2027년부터 2033년까지 7년간 국비 1691억 원을 포함해 2437억 원이 투입된다.
주요 사업은 △생태통로(교량형 1개소, 터널형 2개소) △자연형 하천 복원(2.7km) △계단식 습지(3만㎡) △생물 서식지(7만㎡) △9.6km 생태탐방로 조성 △국립 자연환경복원센터 유치 등이다. 복원 구간을 중심으로 단절된 수생태계를 연결하고, 주민과 탐방객이 생태 복원 과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예타 선정에 따라 내년부터 한국개발연구원(KDI) 또는 조세재정연구원(KIPF)이 경제성·정책성·지역균형발전 기여도 등을 종합 검증하는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한다.
특히 이번 사업의 예타 대상 선정에는 한병도 국회의원(익산을)의 적극적인역할이 큰 힘이 됐다는게 도의 설명이다. 한 의원은 기획재정부와 환경부를 수차례 찾아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정부의 공감대를 끌어내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의원은 "왕궁은 한센인 강제 이주의 아픈 역사를 간직한 상징적인 공간"이라며 "지역의 아픔을 치유하고 생태와 문화가 공존하는 회복의 터전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이번 사업의 국가적 필요성과 지역적 당위성을 적극 입증해 최종 통과를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익산시·정치권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주민 참여를 확대해 사회적 공감대를 넓히는 한편, 비용 대비 편익(B/C) 분석 보완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김관영 지사는 “도민의 오랜 염원을 담아 예타 단계에서도 철저히 대응해 반드시 국가사업으로 확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